3'10" 읽기
- 자극이 유사할수록 기억에서 혼동할 가능성이 커진다.
- 그리드의 아래쪽 절반에 표시된 개체를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나
- 불완전한 지식도 중요
물체에 대한 우리의 기억력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좋다.
실험 결과 물체와 물체의 위치에 대한 놀랍도록 좋은 기억력이 밝혀졌다.
주의 사항:
우리의 기억은 놀라운 수의 물체를 본 장소와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실험에서 피험자는 가상 메모리 게임에서 100개 이상의 이미지를 기억하기도 했다. 그들은 게임 보드에서 그림이 이전에 표시된 위치와 이전에 본 대략적인 시기를 놀랍도록 정확하게 말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인간의 상대적으로 좋은 공간적 및 시간적 대량 기억을 나타낸다.
 |
▲ 실험에서 피험자들은 그리드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7개의 물체를 보았다. 빨간색 프레임이 개체를 하나씩 표시했다. © Brigham and Women’s Hospital
|
우리의 기억은 때때로 놀라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특별한 기억 트릭 없이도 수많은 소리, 냄새, 이미지 및 사건을 기억할 수 있다. 심지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말이다. 예를 들어, 수많은 실험을 통해 우리는 많은 자극으로부터 특정 물체를 보았는지 매우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간과 시간을 위한 대용량 메모리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을 잘 구별할 뿐만 아니라 해당 물체를 본 장소와 시기를 포함한 추가 정보도 저장한다. 즉, 공간적 및 시간적 대량 메모리가 있다. 그러나 이 메모리는 얼마나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검색할 수 있으며 그 용량은 무엇에 따라 달라질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보스턴에 있는 Brigham & Women's Hospital의 Jeremy Wolfe가 이끄는 팀은 기억력 게임과 유사한 7x7 그리드로 배열된 다양한 이미지를 수많은 테스트 대상에게 보여주었다. 표시된 각 개체는 2초 동안 빨간색 프레임으로 강조 표시된 후 다음 개체로 이동했다. 그런 다음 모든 이미지가 숨겨졌다.
공차 프레임 메모리 게임이제 피실험자들은 이전에 본 적이 없는 물체와 혼합된 이전에 표시된 이미지를 차례로 보게 되었다. 그들은 문제의 물체를 이전에 본 적이 있는지, 만약 본 적이 있다면 그것이 그리드의 어디에 놓여 있는지를 말하도록 요청받았다. 추가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각각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게임의 시점을 타임라인에 표시하도록 요청받았다.
“어떤 면에서 이것은 우리가 어렸을 때 카드를 뒤집은 다음 이전에 본 일치하는 카드의 위치를 기억하려고 하는 기억력 게임과 유사하다"고 Wolfe는 말했다. "하지만 아이들의 게임과 달리 우리는 정확한 '정답'을 세지 않았다. 피험자가 실제로 본 이미지에 얼마나 근접했는지 측정했다.” 이렇게 오답을 통해 공간 및 시간 대량 기억이 얼마나 상세하고 협소한지 알 수 있었다.
높은 적중률결과:
많은 테스트 대상이 300개 이미지 중 100개 이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플러스/마이너스 1 필드의 정확도로 그리드의 올바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약 10%의 시간적 정확도로 개체의 60~80%를 배치할 수 있었다. Wolfe와 그의 동료들이 설명하듯이 그것들은 40%의 무작위 적중 확률보다 훨씬 높았다.
Wolfe는 "우리의 결과는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좋은 정밀도로 많은 개체에 대해 언제 어디서 나타났는지 기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물체에 대한 우리의 공간적 및 시간적 기억력은 겨울 동안 먹이를 어디에 숨겼는지 기억해야 하는 새나 다람쥐만큼 인상적이지는 않지만 우리의 데이터는 우리가 물체에 대한 엄청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광범위한 메모리 성능그러나 연구팀은 결과가 테스트된 매우 다른 개체에만 적용된다고 지적했다. 얼굴이나 다르게 디자인된 문으로 유사한 테스트를 수행한 경우 모든 피험자가 훨씬 더 나빴다. "자극이 유사할수록 기억에서 혼동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저자는 설명했다.
개별 테스트 대상자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일부는 무작위 추측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더 자주 평가에서 틀렸다. 또한 대부분의 피험자는 그리드의 아래쪽 절반에 표시된 개체를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완전한 지식도 중요하다.향후 실험에서 팀은 이러한 현상의 근간이 되는 것과 예를 들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포함하여 다른 요인이 갖는 영향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우리의 실험은 인간이 공간적 및 시간적 대량 기억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래의 연구는 그 한계를 정의할 것이다”고 연구원들은 말했다.
정확한 적중만이 해당 측정에서 계산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들에게 중요하다. Wolfe와 그의 팀은 "물체가 대략 '저기'에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분명히 실제 기억이며 종종 실제 상황에서 필요한 모든 것"이라고 설명한다. "부분적이거나 불완전한 지식도 여전히 지식이다."
(Current Biology, 2023; doi: 10.1016/j.cub.2022.12.040)
출처: Brigham and Women’s Hospital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