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견
들쥐에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수공통 전염 가능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바이러스 저장 동물:
연구원들이 스웨덴 들쥐에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SARS-CoV-2와 마찬가지로 병원체는 베타 코로나바이러스에 속한다. 과학자들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그림쇠 바이러스(Grimsö-Virus)는 아마도 중부 유럽 들쥐에서도 돌고 있을 것이다.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지 여부와 인수공통전염병의 위험이 있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
▲ 연구원들이 스웨덴 들쥐에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
![]() |
▲ 베타 코로나바이러스의 하위 그룹과 새로운 그림쇠 바이러스의 분류.© Geldenhuys et al./ PLOS One, doi: 10.1371/journal.pone.0194527, CC-by 4.0 |
결과:
연구원들은 조사한 은행 들쥐의 3.4%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RNA를 검출했다. 비교 분석 결과 유전 물질은 일부 설치류 바이러스 외에 MERS, SARS 및 SARS-CoV-2도 포함하는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그룹의 병원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그룹 내에서 새로운 그림쇠(Grimsö) 코로나바이러스는 일반적인 감기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두 가지를 포함하는 엠베코바이러스 하위 그룹과 더 유사하다.
새로 발견된 은행 들쥐 병원체는 이미 알려진 병원체 및 설치류 코로나바이러스와 크게 다르다. 그의 동료들은 "이것은 그림쇠 바이러스가 엠베코바이러스 내에서 자체 그룹을 형성함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인수 공통 전염병 가능성
연구원에 따르면 스웨덴 중부의 은행 들쥐는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이 바이러스는 2년 동안 스웨덴 쥐에서 반복적으로 검출되었기 때문에 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이 설치류의 개체군에 비교적 널리 퍼져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Grimsö 바이러스가 스웨덴 이외의 은행 들쥐에서도 발견되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Grimsö 바이러스가 인간이나 다른 동물 종에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 또한 불분명하다. "우리는 아직 이 바이러스가 어떤 잠재적인 공중 보건 위험을 초래하는지 알지 못한다"라고 팀이 설명했다. "우리는 그림쇠 바이러스가 가축이나 인간에게 인수인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더 알아내기 위해서는 코로나바이러스를 먼저 배양한 다음 수용체 결합에 대해 분석해야 한다.
Wasberg의 동료인 Åke Lundkvist는 "그래도 야생 설치류의 코로나바이러스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라고 말했다.
(Viruses, 2022, doi: 10.3390/v14061205)
출처: The Swedish Research Council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