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 오늘보다 6도 더 추었다.
연구원들이 마지막 빙하시대 최대 온도를 다시 결정했다.
지난 빙하기에 얼마나 추웠을까?
연구원들이 최근 이 질문에 전보다 더 정확하게 답을 내놓았다.
지구 평균 기온은 약 2만 년 전에 근대 기온보다 6.1도 낮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높은 위도에서는 훨씬 더 추웠다. 한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베링 랜드 브리지와 알래스카는 비교적 따듯했다. 연구자들이 전문 저널 "Nature"에 보고한 내용이다.
![]() |
▲ 마지막 빙하기에 북부 스페인에 살았던 동물 그림: Mauricio_Antón.jpg |
약 2만 년 전 북반구의 많은 부분은 빙하로 덮여있었다. 마지막 빙하기의 절정이었다.
그 당시의 추위는 지금까지 큰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었다. 유공충, 규조류 또는 동위 원소 값과 같은 화석 또는 지구 화학적 "증인"은 고르지 못한 그림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전 추정치의 범위는 빙하기 이후 *홀로세(Holocene Epoch) 평균보다 1.7도에서 8도까지 낮았다.
*홀로세(Holocene世) : lstodeo 4기의 마지막 시기. 약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충적세(沖積世)라고도 한다. 이 명칭은 1885년 세계지질학회에서 채택됐다.
빙하기 "온도계"로서의 지구 화학
최근 애리조나 대학의 제시카 티어네이(Jessica Tierney) 주변 연구자들은 이 범위를 상당히 좁혔다. 연구를 위해 그들은 화석 플랑크톤에서 마그네슘과 칼슘의 비율, 특정 탄화수소의 함량 및 산소 동위 원소 18-O를 포함해 네 가지 다른 지구 화학적 지표를 평가했다.
그들은 마지막 빙하 최대치에서 바다와 육지 온도를 재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약 1700개의 데이터를 기후-해양 모델에 제공했다.
결과 :
마지막 빙하기의 절정에 지구 평균 기온은 홀로세보다 6.1도 낮았다.
Tierney는 "우리의 일상적인 기준으로는 그렇게 큰 차이로 들리지 않지만 실제로는 큰 변화다"라고 말했다. 1도의 인위적 온난화를 고려하면 평균 기온은 오늘날 약 15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6도는 급격한 냉각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이 설명했듯이 그들의 가치는 이전 연구와 잘 일치하지만 불확실성을 더 제한했다. 값의 95%를 구성하는 그들이 결정한 신뢰 구간은 5.7 ~ 6.5도에서 비교적 좁다.
![]() |
▲ 아시아인이 아시아에서 아메리카로 이주했던 경로 |
베링 랜드브리지는 온화하고 얼음이 없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육지와 바다에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북대서양, 북태평양, 남대서양 일부 지역은 특히 추웠다. 바다는 전 세계 평균으로 3.1도까지만 냉각되었다. 이 지역의 마지막 빙하 최고 기온은 오늘보다 8도 이상 더 추웠다.
육지에서는 북반구의 높고 중간 정도의 위도가 가장 많이 냉각되었다.
두 가지 흥미로운 예외는 다음과 같다.
"알래스카와 베링 랜드 브리지의 서쪽에서는 거의 냉각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Tierrney와 그녀의 동료가 보고했다.
"이 지역이 얼음이 없고 최소한으로만 냉각된다는 관찰과 잘 일치한다."
이것은 당시 최초의 인간이 어떻게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왔는지 설명 할 수 있다.
![]() |
▲ 2만1000년 전 부터 햔재까지 베링 랜드 브릿지 발전 단계 Source http://www.ncdc.noaa.gov/paleo/parcs/atlas/beringia/lbridge.html |
CO2값이 두 배가 될 때마다 3.4도 더 따뜻함
연구진은 모델과 빙하기에 대한 기본값을 기반으로 기후 민감도를 다시 계산했다.
대기의 온실가스 농도에 따라 기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동위 원소 측정을 통해 마지막 빙하기의 높이에서 CO2값이 약 180ppm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그들은 이미 400ppm 이상에 도달했다.
결과 : "90% 확률로 기후 민감도는 2.5도에서 4.3도 사이이다." Tierney와 팀의 보고다.
"이것은 CO2값이 두 배가 될 때마다 1~6도를 가정한 IPCC의 지난 세계 기후 보고서보다 훨씬 더 이 범위를 좁혔다.”
평균적으로 지구 평균 온도는 CO2값이 두 배가 될 때마다 약 3.4도씩 상승한다.
그들의 결과는 빙하기의 기후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기후 발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Nature, 2020; doi : 10.1038 / s41586-020-2617-x)
출처 : University of Arizona
[더사이언스플러스] "Green Soul, Beautiful Science"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