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윤활제가 딱정벌레 관절을 마모로부터 보호한다.
인간과 같은 척추동물의 무릎이나 손목 관절은 보호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보호막에는 연골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팔과 다리를 통증 없이 구부리거나 늘릴 수 있는 액체가 함유돼 있다. 곤충의 관절은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관절은 캡슐화되지 않고 열려 있으므로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Christian-Albrechts-Universität zu Kiel(CAU) 동물학 연구소의 연구팀은 곤충의 개방 관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내고자 검은 딱정벌레(Zophabas morio)의 무릎 관절을 조사했다. 그들은 테플론처럼 마찰을 작게 하고 이로써 관절 마모를 줄이는 왁스 같은 윤활제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최근 그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회보(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발표했다.
![]() |
▲ 검은 딱정벌레 Adult Zophobas morio. Source:Transferred from nl.wikipedia to Commons. Author:Evanherk at Dutch Wikipedia |
![]() |
▲ 그림 1. 검은색 딱정벌레 Zophabas morio(a)와 대퇴-경골 관절의 구조(b–k). (b) 대퇴 경골 관절, 외관. (c) 대퇴-경골 관절의 대퇴골 대응물, 파선은 대퇴골 내강(fic)과 대퇴골 대응부 사이의 경계를 나타낸다. (d) 대퇴 경골 관절의 경골 대응물. (e) 대퇴 경골 관절, 시상 섹션. (b-e) SEM 현미경 사진. (f–k) 대퇴 경골 관절의 마이크로 CT 용적 재구성. (f) 외관, 전방 측면 모습. (g) 시상 단면, 파선은 대퇴골 내강(fic)과 대퇴골 관절 대응물 사이의 경계를 나타낸다. (h), 정면도. (i), 대퇴골의 내부 모습. (j) 반투명 시각화의 등쪽 보기. (k) 동일한 전방 측면 보기. ap, 모공으로 덮인 영역; et, 탄성 힘줄; f, 대퇴골; fc, 대퇴과; fic, 대퇴골 내강; m, 관절막; mas, 막 부착 부위; t, 경골; tc, 경골 오목. 스케일 바, (a) 0.5cm, (b,c,e) 200μm, (d) 100μm. (출처: 관련논문 Insects use lubricants to minimize friction and wear in leg joints, https://royalsocietypublishing.org/doi/10.1098/rspb.2021.1065) |
![]() |
▲ 그림 2. Zophabas morio의 대퇴 경골 관절에서 윤활 분비물. (a) 기공 개구부에서 돌출된 윤활유(대퇴골 대응물의 질감이 있는 표면 위에 수많은 작은 조각이 보인다). (b) 경골에 대응하는 구멍 구멍에서 돌출된 윤활제 흐름. (c-e) 동일한 구멍 구멍, 경골 대응물에서 여러 번 압출되는 것을 포함하여 윤활제의 모양이 다양하다. (f,g) 윤활유는 일련의 농축물, 대퇴부 대응물과 함께 흐른다. (h) 막 부착 부위에서 대퇴부 대응물에 응집된 압출 윤활제 덩어리. (i) 경골 오목부의 표면을 덮고 있는 윤활제 조각. (j) 수많은 윤활제 조각으로 덮인 대퇴과의 표면. (a,b,f–j) SEM 현미경 사진. (c–e) Cryo-SEM 현미경 사진. l, 윤활제; p, 기공 개방. 스케일 바, (a–f,i) 10 µm, (e) 5 µm, (g) 2 µm, (h) 15 µm, (j) 25. (출처:관련논문 Fig 2) |
마이크로 로봇이나 작은 보철물에 적용 가능
곤충 관절은 기본적으로 기계적 또는 인공 미세 관절과 유사해 고성능 유기 딱정벌레 윤활유도 기술 응용 분야에서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로봇이나 작은 보철물에 사용하면 마모를 줄여 기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
![]() |
▲ 그림 5. 윤활유(a,c,e)의 SEM 시각화 및 윤활유 기능(b,d,f)의 해당 개략도. (a) 특히 표피 융기부에 축적된 윤활제의 변형되지 않은 고유 파편으로 덮인 대퇴부 대응 표면. (b) 접촉면 사이의 거리 간격이 1μm 이상일 때 윤활유의 파편. (c) 윤활제의 부분적으로 압축된 파편으로 덮인 대퇴부 대응 표면(삽입 참조). (d) 접촉면 사이의 간격이 약 0.5μm일 때 윤활유 조각. (e) 강하게 압축되고 변형된 윤활제 조각으로 덮인 대퇴부 대응 표면. (f) 접촉면 사이의 거리 간격이 0.5 µm 미만인 경우 윤활유 조각. l, 윤활제; p, 기공 개방. 스케일 바, (a) 10 μm, (c) 15 μm, (e) 20 μm. (출처:관련논문 Fig 5)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