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표준 풍력 지도
처음으로 풍력 터빈의 높이에서 최대 풍력을 표시
극한 바람에 적합 :
극한 바람에 대한 새로운 세계지도는 풍력 에너지에 적합한 위치와 각 위치에 적합한 유형의 터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극한의 경우 약 100m 높이(터빈 배꼽 높이)에서 바람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정보는 최근 제작된 극심한 바람의 글로벌 고해상도 표준 풍력 지도로 알수 있게 됐다.
![]() |
▲ 풍력 터빈은 전원을 끄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위치에서 가장 극심한 바람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 |
▲ 중국 신장(Xinjiang)에 있는 풍력 발전 단지 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Wind_power_plants_in_Xinjiang,_China.jpg |
![]() |
▲ 지표면 100m 위의 풍속에 대한 세계지도. (이 지도는 덴마크 공대가 2017년도 제작한 것이다) https://globalwindatlas.info |
![]() |
▲ 국가별 풍력의 1차 에너지 비율(2019) |
풍력 에너지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 및 기타 구조물에 대한 데이터
"이 정보를 통해 특정 위치에 적합한 풍력 터빈을 선택할 수 있다”고 Pryor는 말한다.
"그리고 이는 풍력으로부터 비용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생산에 기여한다“
극한 풍력에 대한 지식은 풍력 에너지를 넘어서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풍력 지도는 고층 건물, 교량 또는 기타 잠재적으로 바람에 민감한 인프라를 구축할 때 더 나은 위험 평가에 기여할 수 있다고 Pryor와 Barthelmie는 말했다.
그들의 바람 지도는 아직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없지만 곧 완료되어야 한다.
(Nature Energy, 2021; doi : 10.1038 / s41560-020-00773-7)
출처 : Cornell University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