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초콜릿 레시피 해독
코코아 발효 과정에서 어떤 미생물이 최고의 초콜릿 맛을 보장할까
미생물 조력자:
연구진은 고급 초콜릿에 사용되는 코코아에 은은한 향을 부여하는 미생물을 최초로 발견했다. 발효를 통해 이러한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쓴맛이 나는 코코아를 맛있는 초콜릿 원료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미생물의 발견으로 이제 코코아를 더욱 특수하게 발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특정 원산지의 원두만으로 프리미엄 초콜릿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
▲ 코코아 열매 © Mimi Chu Leung |
![]() |
▲ a. 이 지도는 본 연구에서 평가된 콜롬비아의 세 코코아 재배 지역(산탄데르, 우일라, 안티오키아)의 코코아 농장을 보여준다. b. 본 연구에서 수행된 현장 콩 발효 분석의 개략도. 농장에서 재배된 코코아 품종의 유전자형을 SNP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발효 중인 콩의 온도, pH, 색상 변화를 매일 기록했으며, 미생물 군집은 옥스포드 나노포어 메타게놈 샷건 시퀀싱을 사용하여 특성화했다. 발효 및 건조 후, 콩을 코코아 액으로 가공하여 관능 평가 및 대사체학을 통해 분석했다. 이 도표는 BioRender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Gopaulchan, D. (2025) https://BioRender.com/t56v367 (출처:(출처:Published: 18 August 2025 / A defined microbial community reproduces attributes of fine flavour chocolate fermentation / nature microbiology) |
미생물 팀, 초콜릿 풍미를 만들다
고폴찬과 그의 팀은 이 문제를 더욱 자세히 조사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콜롬비아의 세 곳 농장에서 카카오 콩 샘플을 채취하여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어떤 미생물이 카카오 콩에 서식하는지 분석했다. 또한 미생물이 생성하는 분자, 온도와 pH가 카카오 콩의 발효 과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며칠에 걸친 발효 과정에서 나타나는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코코아 발효 과정에서 여러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중에는 에르위니아세아과(Erwiniaceae), 아세토박터세아과(Acetobacteraceae), 그리고 사카로미세타세아과(Saccharomycetaceae) 곰팡이가 우세했다. 이러한 과에는 아세트산 박테리아와 효모가 포함된다. 분석 결과, 이들의 효소는 코코아 원료를 다양한 단맛, 과일맛, 그리고 풍미 있는 향미 물질로 전환한다. 발효 과정에서는 온도가 상승하고 콩의 pH 값이 감소하며, 이는 미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48시간 후 미생물 변화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분석 결과 코코아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 군집의 구성이 크게 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고폴찬과 그의 동료들은 "발효 초기와 후기 사이에 미생물 군집에 상당한 변화가 있다"고 보고했다. 처음 24시간 동안에는 특정 효모와 에르위니아세아(Erwiniaceae) 박테리아가 우세하지만, 약 48시간 후에는 아세토박터세아(Acetobacteraceae) 박테리아가 우세해진다.
![]() |
▲ e. 이미지는 발효의 시작(0시간)부터 끝(168시간)까지 코코아 콩의 일일 모습을 보여준다. (출처:Published: 18 August 2025 / A defined microbial community reproduces attributes of fine flavour chocolate fermentation / nature microbiology)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