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읽기
- 이집트에서는 3,850년 전에 천문학적 원리에 따라 최초의 무덤이 건설
- 3,000년 전의 '카이로 달력'에는 이미 천상의 사건과 변광성의 밝기 변동까지 기록돼
- 나일강 삼각주 알렉산드리아에서 동쪽으로 약 80km 떨어진 텔엘파라인 정착지 언덕
- 매 머리를 한 신 호루스의 왼쪽 눈은 달을, 오른쪽 눈은 태양을 상징
이집트: 2,500년 된 관측소 발견
해시계, 경사계 및 벽화는 천문학적 사용 증거
간단하지만 정확하다. 고고학자들이 나일강 삼각주에서 약 2,500년 된 천문대를 발견했다. 이는 이집트 후기 시대의 가장 크고 오래된 천문대다. 850㎡ 규모의 부지에는 해시계, 태양 높이를 측정하는 석재, 관측탑과 천문학을 모티브로 한 벽화가 전시돼 있다. 사원에 통합된 전망대는 아마도 의식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중요한 날짜를 결정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
▲ 이 물체는 이집트 천문대에서 나온 것이다. 호루스의 눈은 달의 상징으로도 간주된다. © Egypt Supreme Council of Antiquities |
고대에도 많은 문화가 별의 길을 따랐다. 이것은 의식과 축제의 시간 표시로서 태양력과 음력의 기초로 사용되었지만, 신의 징조와 힌트로 간주되기도 했다. 이집트에서는 3,850년 전에 천문학적 원리에 따라 최초의 무덤이 건설되었으며, 3,000년 전의 '카이로 달력'에는 이미 천상의 사건과 변광성의 밝기 변동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집트 후기의 가장 큰 관측소이제 고고학자들은 이집트 학자들이 하늘을 관찰하는 데 사용했던 천문대 중 하나를 발견했습. 나일강 삼각주에 있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동쪽으로 약 80km 떨어져 있으며 텔엘파라인 정착지 언덕의 일부다. 여기에는 청동기 시대부터 고대 이집트 후기까지의 정착 유적과 사원 유적이 포함된다. 기원전 6세기에 새로 발견된 천문대가 있는 부토사원(Buto Temple)도 후자에서 유래했다.
이집트 유물 관리국(Egyptian Antiquities Authority)은 이 시설이 이 시기의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관측소라고 보고했다. 이 단지는 약 850평방미터의 면적을 차지하며 여러 개의 진흙 벽돌 건물과 기둥이 늘어선 L자형 중앙 홀로 구성돼 있다. 입구는 경사진 진흙 벽으로 보호되어 있으며 일출을 향해 동쪽을 향하고 있다.
 |
▲ 이집트 나일강 삼각주에 있는 텔 엘 파라인 정착촌의 진흙 벽돌 건물 유적지 전경 © Faris knight/ gemeinfrei (CC0) |
간단하지만 정밀한 기기천문대 방에서 고고학자들은 여러 개의 천문 장비를 발견했다. "이러한 도구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미 종교 의식, 왕실 대관식, 심지어 농업에 중요한 양력 날짜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유물 관리국 사무총장인 모하메드 이스마일 칼레드(Mohamed Ismail Khaled)는 보고했다. "이번 발견은 고대 이집트인의 진보된 천문학 지식을 강조한다.“
천문대에 있는 천문 장비는 수평선 위로 태양의 높이, 즉 기울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 같다. 이 세 부분으로 구성된 앙상블의 중심은 직립형 돌이며, 그 옆에는 북쪽과 서쪽에 두 개의 둥근 돌판이 있다. 고대 이집트 천문학자들도 작은 전망대를 가지고 있었는데, 다른 건물과 달리 진흙 벽돌이 아닌 돌 블록으로 만들어졌다.
해시계와 호루스의 눈또 다른 뛰어난 발견은 4.80m 길이의 석판이 일렬로 놓여 있는 대형 석회암 블록으로 만들어진 대형 해시계다. 이 판에는 5개의 평평한 블록이 더 놓여 있는데, 3개는 수직으로, 2개는 수평으로 놓여 있다. “우리는 이 블록에 한때 태양과 그림자의 방향을 측정하고 하루 종일 태양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움푹 들어간 선이 있었던 것으로 믿는다”고 고고학자들은 설명했다.
이러한 도구와 구조물 외에도 중앙 홀과 일부 다른 방의 벽화도 건물의 목적을 증거한다. 이 그림은 이집트 신앙에서 별과 밀접하게 연결된 다양한 신과 물체를 묘사한다. 일부 해석에 따르면 매 머리를 한 신 호루스의 왼쪽 눈은 달을, 오른쪽 눈은 태양을 상징한다고 한다.
출처: Supreme Council of Antiquities, Egypt State Information Service
고대 유물 최고위원회, 이집트 국가 정보 서비스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