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본 천왕성과 그 고리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6 11:33:46
  • -
  • +
  • 인쇄
2'30" 읽기
- James Webb Space Telescope의 이미지,
-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는 얼음 거인의 극관과 두 개의 구름에 대한 세부 정보 알려줘

천왕성의 고리
James Webb 망원경은 먼 얼음 행성 주변의 고리 시스템을 밝힌다.


이것은 토성이 아니라 우리 태양계의 덜 연구된 또 다른 고리 행성인 천왕성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얼음 행성도 적어도 13개의 고리로 둘러싸여 있다. James Webb Space Telescope의 이 이미지에서 그 어느 때보다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는 얼음 거인의 극관과 두 개의 구름에 대한 세부 정보도 보여준다.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본 천왕성과 그 고리. © NASA/ESA/CSA, Joseph DePasquale(STScI)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이상한 행성 중 하나다. 멀리 떨어진 얼음 거인은 4극 자기장을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이국적인 얼음 모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표면은 비정상적으로 X선을 방출한다. 또한 천왕성은 아마도 행성 대격변의 결과로 태양 주위를 옆으로 돌고 있다. 지금까지 보이저 2호 우주탐사선만이 이 얼음 행성을 통과한 적이 있어서 지금까지 거의 탐사되지 않았다.

고리, 극지방 및 두 개의 구름

James Webb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이미지는 천왕성을 이전에는 본 적이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고 거의 보이지 않는 고리가 여기에서 완전히 화려하게 빛난다. 우주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는 고리의 얼음과 먼지 입자에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을 포착한다. 천왕성의 알려진 13개의 고리 중 11개를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여기에 표시된 고리 중 9개는 얼음 행성의 주요 고리에 속하며 나머지 2개는 더 얇고 확산된 먼지 고리다. 보이저 탐사선이 지나간 1986년에야 발견되었다. 이미지에서 누락된 천왕성의 두 고리는 너무 희미해서 천문학자들이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2007년까지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Webb 망원경 팀은 JWST의 날카로운 적외선 광학이 향후 이미지에서 이 두 개의 천왕성 고리를 캡처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또한 이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천왕성의 아래쪽 절반에 있는 더 밝은 영역이다. 이것은 행성의 북극 모자다. 이 극지방의 증가된 밝기는 태양을 향할 때만 발생한다. 그러나 미묘한 변색 뒤에 정확히 무엇이 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극지방의 가장자리와 행성의 꼭대기에서도 두 개의 밝은 구름을 볼 수 있다. 그들은 폭풍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천왕성에서 더 흔하다.
출처: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STScI: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