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다양성 핫스팟, 마다가스카르에서 종 보호
인스브루크의 동물학자 볼프강 마크는 생물 다양성의 핫스팟인 마다가스카르에서 사회에 눈에 띄는 이익이 없는 종의 죽음을 실제로 관찰할 수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학생들과 함께 여러 연구 여행을 하면서 다양한 동물 그룹을 조사했다.
![]() |
▲ 마다가스카르에서 인간은 점점 더 자연 속으로 침투하여 독특한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 © 루크 티더 / 게티 이미지 |
![]() |
▲ 고리꼬리 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에서만 발생하며 현재 이 여우원숭이의 첫 번째 보호 지역이 있다. © Andrea Izzotti / 게티 이미지 |
“마다가스카르에서 인간의 깊은 개입으로 다양한 유형의 숲이 사라지는 것은 간과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조림 프로젝트와 같은 보호 조치와 대응 전략이 개발되었다”고 동물학자는 보고했다. “성공이 미약하다고 인식될 수 있지만, 최소한 환경 인식에 대한 접근 방식은 인구와 국가 행정부 모두에서 확립되었다. 고리 꼬리 여우원숭이에게 이것은 그들이 최소한 공원에서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문을 위한 고기잡이 “알려진 것만 보호할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마다가스카르에서 더 나은 삼림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지만, 섬의 다른 서식지는 지금까지 대부분 종과 서식지 보호에서 제외되었다. 이에 대한 예는 수생 서식지이다.
"매혹적이면서 동시에 답답하다“
“마다가스카르의 물고기 연구는 매혹적이며 동시에 실망스럽다. 지구상의 어떤 아대륙에도 마다가스카르와 같이 고유종 비율이 높은 척추동물 그룹은 없다”고 볼프강 마크는 설명한다. “이것은 우리에게 많은 새로운 종을 발견할 기회를 준다. 이미 알려진 종에 대해서도 생물학, 생활 방식 및 요구 사항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 연구원을 위한 거대한 활동 분야가 여기에서 열린다. 동시에 여기처럼 서식지에 대한 위협이 예리하게 가시화되는 지역은 거의 없다.”
이것은 지구 온난화의 결과로 악화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점점 더 늦고 드물게 내리는 비로 인해 가뭄 재앙이 증가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넓은 땅이 완전히 말라서 지표수가 사라지고 지하수위가 너무 많이 가라앉아 우물이 마르거나 너무 염분이 된다. 그들의 변화는 교활하고 눈에 띄지 않는다.
![]() |
▲ 강과 그 주민들은 지금까지 마다가스카르의 종의 보전에서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 mihtiander / 게티 이미지 |
생물학자들의 추정에 따르면 현재까지 마다가스카르 민물고기 종의 약 30%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물고기는 2015년부터 학생들과 함께 마다가스카르로 여러 차례 여행을 다녀온 인스부르크 연구원의 연구 초점이었다. 방법론적 이유로 인스부르크 연구팀은 작은 수역과 호수의 제방 지역만 샘플링할 수 있었다.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그물, 솥, 그물을 사용해 고기를 잡았다. 우리는 어시장과 지역 주민들과의 수많은 토론에서 추가 정보를 받았다”고 Mark는 설명했다. 가능한 한 포획된 물고기를 식별하고 측정하고 해당 종에 대한 현장 사진을 촬영한 다음 다시 물에 풀어 놓았다.
인스부르크 팀은 나중에 실험실에서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표본 사본을 가져갔다.
나중에 유전형 결정을 위해 보존된 조직 샘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샘플 사본과 조직 샘플 모두 마다가스카르의 수도인 안타나나리보에 있는 대학에 제공되었다. 안타나나리보 대학과 인스부르크 대학 간에는 2016년부터 상호 지원 협정이 있었다”고 동물학자는 설명했다.
3분의 1은 고유종, 다른 1분의 1은 토착종
총 3번의 연구 방문을 통해 수천 마리의 민물고기가 확인됐고 거의 60종이 분류 할당됐다. 이는 마다가스카르 어류에 대한 식별 문헌이 아직 거의 없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종 중 일부는 사람에 의해 마다가스카르에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양식업에서 중요한 시클리드 종인 틸라피아 또는 우리에게 수족관 물고기로 알려져 있으며 마다가스카르에서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사용되는 이빨 잉어 종인 구피가 사용됐다.
![]() |
▲ 구피(Poecilia reticulata)는 큰 수족관 물고기이며 마다가스카르에서는 모기를 통제하기 위해 풀려났다.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