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자 빔 및 레이저 대포, 집중된 빛으로 무기 제조
이런 무기들은 공상 과학에서 오래전부터 등장했다. 집속 된 빛의 힘에 기초한 무기.
우리말로 '광검'이라고 불리는 레이저 검이 좋은 예다.
‘스타 트렉’의 페이저와 광자 어뢰 또는 ‘스타워즈’에서 잘 알려진 예디(Yedi)의 레이저 검 : 방사선 대포와 무기는 가장 단단한 금속까지도 자르고 강도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떻게 보일까?
![]() |
▲ 대형 눈 처럼 생긴 무기: 항공기 기반 레이저 무기 YAL-1A는 미사일을 발사해야 했다. © US Air Force |
사람을 목표하는 것은 여전히 금기됐다.
수많은 산업 분야에서 이미 레이저는 두꺼운 강판을 절단하기에 충분한 침투력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를 무기로 만들려면 차량이나 비행기에 적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컴팩트해야 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및 파이버 레이저의 개발은 최근 몇 년간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다.
실제로, 무기 제조업체와 군대는 오랫동안 다양한 형태의 레이저 무기를 실험해 왔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광산, 미사일, 드론 또는 기타 적 차량을 파괴해야하는 킬로와트 범위의 번들 방사선을 방출한다. 사람들에게 레이저 무기를 가리키는 것은 공식적으로 금기 사항이다. 1995년 초, 대부분의 지방정부가 준수하는 미국의 결의안에 의해 무기가 금지되었다.
비행기에 레이저 대포 장착
2001년 초 미 공군은 747기내에 COIL(chemical oxygen laser)을 설치해 전쟁 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레이저는 항공기의 거의 모든 내부를 채웠다. 또한, 대기에서 빔의 산란을 보상하는 적응형 광학 장치로 보완되었을 때만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었다. Airborne Laser는 2011년까지 몇 가지 테스트를 수행했지만 비용문제로 프로그램이 취소됐다.
그러나 또 다른 항공기 기반 시스템인 ‘HELLADS(High Energy Liquid Laser Area Defense System)’가 오랫동안 연구에 참여했다. 이 고에너지 레이저는 150킬로와트 빔을 생성하며 매우 작아서 무인 미국 드론에 장착 할 수 있다. 미 해군은 우주선 USS Ponce에 또 다른 레이저 무기 시스템을 설치했다. 이것은 드론, 헬리콥터 및 소형 보트에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6개의 기존 파이버 레이저로 구성되어 있으며 30킬로와트 레이저 대포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다.
![]() |
▲ USS Ponce의 레이저 무기 시스템 (LaWS) © U.S. Navy/ John F. Williams |
스타워즈-사운드 레이저 무기
보잉(Boeing)이 미군을 대신하여 개발한 HEL-MD 레이저 무기는 훨씬 작다.
10 킬로와트 파이버 레이저를 기반으로하는 이 시스템은 군용 트럭에 장착되며 레이더를 사용해 비행 드론 또는 미사일을 독립적 대상으로 비행 중에 파괴 할 수 있다.
2014년 5월, 이 레이저 무기는 플로리다에서 테스트됐다. 비와 바람에서도 작동했다.
이전 시험에서 이 시스템은 방향타를 태워 5km 거리에서 날아가는 드론을 추락시켰다.
기발한 일화 :
HEL-MD는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게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가 알아채기 전에 업무를 완수할 수 있다. ‘Nature News’의 보잉 엔지니어인 스테파이 블라운트(Stephanie Blount)는 “제어 화면을 계속 쳐다보지 않으면 전혀 볼 수 없다."라고 설명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레이저를 발사될 때 나타내는 소리가 내장되어 있다" 고 스타 트렉과 스타 워즈의 전투 장면에서 사용되는 소리 클립이다.
레이저-대즐러?
이미 휴대용 무기도 있다.
미 공군 연구소는 몇 년 전 레이저 소총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이 빔은 사람들을 눈을 멀게해서 일시적으로 행동을 무력화하는 것이다.
레이저 무기는 유엔 결의안에 의해 명백히 금지되어 있지만, 그러한 ‘Laser-Dazzler 레이저 대즐러’의 레이저 빔은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눈을 멀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현혹 장치의 여러 변형이 테스트 중이거나 이미 미국, 중국 및 영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것들은 전쟁 작전이나 내부 소요에만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