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패자 (3), 근접했지만 전공 분야 달라, 여자라는 이유로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0-10-03 13:03:50
  • -
  • +
  • 인쇄
3분 50초 읽기
허블의 적색편이는 천문학분야라는 이유로, 칼 위세의 고세균 분류는 뚜렷한 해당분야가 없어서.
리제 마이트너,로잘린드 프랭클린 여자로서 불이익.

근접했지만 전공 분야가 맞지 않아서

일부 과학자들은 단순히 잘못된 분야에서 일하고 있었기 때문에 노벨상을 ‘놓쳤다’.
오늘날 물리학, 화학 및 의학 분야의 세 가지 상이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의 대표자에게 수여되지만 수십 년 동안은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 많은 천문학자 뿐만 아니라 생물학자나 ‘너무 수학적’인 물리학자들도 수상하지 못했다.

에드윈 허블과 적색 편이

유명한 예가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다.
그는 이미 육안으로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안드로메다 성운이 우리 은하수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와 인접한 또 다른 은하라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렸다. 1929년에 그는 우주 물체의 빛이 더 멀어질수록 적색 파장 범위로 더 이동한다는 관찰을 토대로 결정했다.
먼 물체는 가까운 물체보다 우리에게서 더 빨리 멀어진다.
적색 편이와 거리는 선형적으로 관련돼 있다.

▲ 에드윈 허블과 안드로메다 은하 © Giuseppe Donatiello/ gemeinfrei, historisch


허블의 관측은 얼마 후에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다는 발견으로 이어졌고, 따라서 우주의 발전에 대한 수많은 근본적인 통찰력의 기초를 형성했다.
그의 이름을 딴 허블 상수는 우주의 팽창 속도를 나타내는 값인 그의 계산을 기반으로 한다.

오늘날 이러한 획기적인 발견은 확실히 노벨상을 받을 가치가 있을 것이다.
허블의 생애 동안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는 그의 주제 영역을 매우 면밀히 보았다.
하지만 천문학은 노벨상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허블의 업적이 우주적 세계관과 물리학을 형성했지만 그는 수십 년 동안 지명되지도 않았다. 3명의 과학자가 그에게 상을 제안한 것은 그가 사망한 1953년 직전은 아니었지만, 그때까지는 너무 늦었다.

Carl Woese와 세 번째 삶의 영역

좁은 전문가 정의의 또 다른 ‘피해자’는 미국 분자생물학자 칼 우에제(Carl Woese)다.
우리는 생명의 가계도에 두 가지가 아니라 세 가지 주요 가지가 있다는 사실을 그에게 빚지고 있다.
박테리아와 진핵생물 외에도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세 번째 주요 생명체 영역을 형성한다.
박테리아 처럼 단세포 유기체는 핵이 없고 그들과 매우 유사 해 보이므로 처음에는 박테리아의 하위 그룹으로 생각되었다.

▲ 생명의 세 영역 © NASA


그러나 Carl Woese는 모든 세포의 가장 오래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리보솜에서 중요한 유전적 차이를 발견했다. 이 세포 단백질 공장에는 종마다 다른 RNA 분자가 들어 있다.
1970년대에 Woese는 다른 박테리아와 다른 유기체의 리보솜 RNA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기 시작했고 고세균을 생명이 분리된 지점으로 식별했다.

동시에 연구원은 rRNA가 미생물 분류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생명의 전체 진화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Woese의 발견은 미생물학 및 진화 연구 모두에 혁명을 일으켰다.
리보솜 RNA의 비교 분석은 오늘날까지 분자 계통 발생의 기초를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oese는 2012년 사망할 때까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그의 업적은 의학, 생물 의학 또는 화학에 할당될 수 없었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녹슬었다.

잊혀진 "공동 연구연구자"

노벨상을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여전히 받지 못한 뛰어난 연구 인물 그룹이 있다.
바로 여성들이다.
특히 노벨상 역사 초기에는 여성 과학자가 소수였고 남성 연구자와 일하는 데 만족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들 중 많은 사람이 학업 경력이나 기관의 관리직을 거부당했다.

Lise Meitner와 핵분열

노벨상을 수상한 여성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는 Lise Meitner이다.
1878년에 태어난 여성 물리학자이자 부드빅 볼츠만(Ludwig Boltzmann)의 학생인 마이트너는 원자 분열의 과정을 처음으로 인식하고 동료 오토 한(Otto Hahn)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1926년에 Meitner는 베를린에서 독일 최초의 여성 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1933년 그녀의 경력은 갑자기 끝났다. 그녀는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직위를 잃고 도망쳐야 했다.

그녀는 스웨덴으로 망명해 계속 일했고 Hahn과 연락을 유지했다.
1938년 12월 한은 그녀에게 우라늄 실험의 놀라운 결과에 대해 말했다.
새롭고 무거운 원소를 형성하는 대신 더 작은 원자핵만 검출할 수 있었다.
“아마 환상적인 설명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이 실제로 바륨으로 폭발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Hahn은 썼다.

▲ 1913년 Lise Meitner와 Otto Hahn. © historisch


Meitner와 그녀의 조카 Otto Frisch는 이론적 설명을 찾았다. 그리고 그것을 발견했다.
중성자에 대한 폭격은 우라늄 원자를 분열시켰을 것이다.

이것은 핵분열이 가능하다는 것과 그것이 어떻게 촉발 될 수 있는지를 분명하게 했습.
Otto Hahn은 핵분열의 발견과 방사성 화학적 증거로 1944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Lise Meitner와 Otto Frisch는 빈손으로 떠났다.
독일 물리학회(DPG) 회장 디터 메쉐데(Dieter Meschede)는 “오늘의 관점에서 이것은 더이상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여성, 유태인, 그리고 독일에서 난민인 마이트너는 당시 노벨상위원회에게는 나쁜 카드를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로잘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과 DNA의 구조

리제 마이트너(Lise Meitner)의 동시대인 영국의 생물 물리학자 Rosalind Franklin에게도 비슷한 일이 일어났다. 그녀의 발견이 없었다면 제임스 왓슨(James Watson)과 프란시스 크릭(Francis Crick)은 유전 분자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정확하게 재구성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녀와 그녀의 많은 동료들은 처음에 DNA가 세 가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프랭클린이 만든 DNA의 X-선 결정학과 그에 따른 결론이 왓슨과 크릭이 올바른 길을 가고 있다는 결론을 유출했을 때 뿐이었다.

1953년에 두 연구원은 "Nature"에서 DNA의 이중 나선 구조 모델을 발표했으며 이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Rosalind Franklin과 그녀의 동료 Maurice Wilkins는 전문가 잡지의 같은 호에 데이터를 게시했지만 Watson과 Crick의 모델은 분명히 그들로부터 쇼를 훔쳤다. 1962년 크릭, 왓슨, 윌킨스는 DNA 구조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이 혁명적 발견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로잘린드 프랭클린 만이 빈손으로 떠났다.

조슬린 벨과 펄서

천문학에서 무시된 여성 연구원의 예도 있다.
여기에는 최초의 펄서를 발견한 영국의 전파 천문학자 Jocelyn Bell Burnell이 포함된다.
캠브리지 대학의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그녀는 새로운 전파 망원경의 데이터를 평가했다. 1967년 8월, 그녀는 이전에 알려진 전파소스에서 올 수 없었던 이상하게 규칙적인 전파 신호를 발견했다.

▲ Jocelyn Bell Burnett는 펄서(pulser)를 발견했다. © Elmi1966 / CC-by-sa 4.0, Roger Haworth / CC-by-sa 2.0


Bell Burnell의 PhD 수퍼바이저 안토니 헤위시(Anthony Hewish)는 처음에는 이러한 신호의 자연적 기원을 믿지 않았다. 단순히 너무 규칙적이었다.
그는 아이러니하게도 "작은 녹색 남자(Little Green Men)"를 의미하는 약어 LGM-1로 식별했다.
그러나 Burnell은 그러한 맥동하는 전파소스를 더 많이 발견했고 모두 별과 함께 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였다. 추가 조사 후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의 전파 신호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Bell Burnell은 펄서(pulser)를 발견한 것이다.

Hewish와 함께 천문학자는 1968년에 발견한 내용을 발표했다.
1974년에 지도교수 안토니 헤위시(Anthony Hewish)에게는 노벨 물리학상이 수여됐지만 조셀른 벨 부르넬(Jocelyn Bell Burnell)는 제외됐다.         - 끝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no science, no future"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