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무리가 창의력을 발휘한다.
상호 작용하는 단일 로봇이 컬러 예술 작품을 만든다.
로봇 창의적 도우미 :
연구원들이 그림을 그리는 로봇팀을 개발했다.
개별 로봇은 상호작용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일종의 지능형 브러시로 강도와 혼합된 색상의 흔적을 만든다. 이 집단적 활동을 통해 전체 예술 작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하이라이트는 로봇 무리가 인간의 요구에 거의 실시간으로 반응해 인간과 기계가 함께 예술가가 된다.
![]() |
▲ 작동중인 로봇 무리 : 이 로봇은 가상 템플릿을 기반으로 서로 의사 소통을 통해 그림을 함께 그린다. © M. Santos |
![]() |
▲ 그림 3. 커버리지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페인팅 메커니즘. 각 하위 그림은 컨트롤러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색 농도 함수를 최적으로 덮기 위해 이동하는 로봇 (왼쪽)이 배치 한 색상 흔적을 보여준다. 로봇 오른쪽에 있는 기호는 도장 능력을 나타낸다. (A, C, E) 세 가지 색상, 즉 청록색 (C,cyan), 자홍색 (M,magenta), 노란색 (Y,yellow)이 모두 장착된 단일 로봇에 대해 섹션 3의 페인팅 메커니즘 작동을 보여준다. CMY 기반의 색상 조합. (A)에서 로봇은 농도 색상 사양 β1에 따라 청록색 흔적을 만든다. 로봇은 색상 혼합 전략에 따라 (C)에서 자홍색과 노란색을 균등하게 혼합해 두 밀도 색상 사양 인 β2와 β3 사이의 색상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E)에서 로봇은 β4로 지정된 색상을 정확하게 복제한다. 반면, (B, D, F)는 3 개의 로봇으로 구성된 팀으로 페인팅 메커니즘의 작동을 묘사하며, 여기서 Voronoi 셀 (CMY 기준에 따라 색상 코드화 됨)이 밀도 하위 그림에 표시된다. |
![]() |
▲ 그림 4. 밀도 매개 변수에 따른 페인팅의 진화 로봇은 캔버스를 통해 밀도 함수를 추적하기 위해 도메인에 분산되어 있다. 각 스냅 샷에서 다중 로봇팀이 특정 시점에서 추적하는 밀도는 이미지의 오른쪽 하단에 표시된다. 색상 흔적의 색상 분포는 로봇의 페인팅 기능 내에서 밀도 기능에 지정된 색상을 반영한다. 어떤 로봇도 완전한 CMY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아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 할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을 통합하면 사용자의 밀도 사양에 가까운 결과가 생성된다. 자료: 관련논문fig.4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No Science, No Future"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