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역설 "성 평등성이 높은 국가의 여성, 이공계 진출 낮아"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0-01-30 15:33:18
  • -
  • +
  • 인쇄
"성 평등 역설 (gender-equality paradox)" 사회가 점점 더 풍부하고 성별이 평등해지면 여성들은 STEM에서 학위를 받을 가능성이 적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 평등이 높은 국가에서는 여성이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학위를 받을 확률이 적다.

사회가 점점 더 풍부하고 성별이 평등해지면 여성들은 STEM에서 학위를 받을 가능성이 적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자들은 이를 "성 평등 역설 (gender-equality paradox)"이라고 부른다.

▲ 성평등 역설.   사진: REUTERS/Suzanne Plunkett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STEM) 분야의 소녀 및 여성에 대한 과소지표(underrepresentation) 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다. 여성은 현재 생명 과학 분야에서 잘 대표되고 있지만 컴퓨터공학 과 물리학과 같은 무기과학 분야에서는 계속해서 과소로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또한 STEM 갭에 기여하는 학업적 강점과 약점에 보편적인 성별차이를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STEM 분야에 참여할 과학 또는 수학 분야에 강점을 지닌 여성을 장려하는 교육노력 및 정책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소년의 학업 강점이 과학이나 수학에 있는 경향이 있는 반면 소녀의 강점은 읽기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주리 대학 예술과학대 심리과학 교수인 데이비드 기어리 (David Geary)에 따르면, 과학이나 수학에 개인적인 힘을 가진 학생들은 STEM 분야에 입학 할 확률이 더 높지만, 독서력이 강한 학생들은 비 STEM 분야에 진학 가능성이 더 높다.

과학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학문적인 힘의 성별차이는 STEM 분야의 성 차이가 '왜 수 십 년 동안 안정적'이었고 '왜 현재의 접근 방식이 실패'했는지 설명 할 수 있다.

 

 

"우리는 67 개국 475,000 명의 청소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STEM 과목의 남녀 성취도가 모든 국가에서 대체적으로 유사했지만, 과학은 남자 아이들에게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기어리는 말한다.

"과학능력이 남학생과 같거나 뛰어 났을 때도 여자들은 종종 STEM이 아닌 과목에서 더 높은 능력과 독해력 관련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더 나을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 이 소녀들은 STEM 분야와 관련이 없는 다른 직업을 찾는 경향이 있었다."

 

놀랍게도, 이 경향은 남녀평등이 잘 된(성차별이 적은)국가에 살고 있는 소녀와 여성에게 더 뚜렸했다.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과 같은 남녀평등 수준이 높은 국가들은 STEM 졸업생 중 여성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저자들은 이것을 "성 평등의 패러독스"라고 부른다.

대조적으로 터키나 알제리와 같은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국가는 STEM 졸업생 중 여성 비율이 훨씬 높다.

 

▲ Number of female STEM graduates and their Global Gender Gap Index (y-axis), a measure of opportunities for women 여성 STEM 졸업생 수와 여성을 위한 기회 측정 지표인 글로벌 젠더 갭 지수 (Y 축) Image: Psychological Science via The Atlantic

"성 평등이 보다 큰 국가에서는 여성이 적극적으로 STEM에 참여하도록 권장된다.

그러나 그들은 개인적인 학문적 힘으로 인해 더 많은 소녀들을 잃는다."Geary는 말한다.

"좀 더 자유롭고 부유한 국가에서는 개인의 선호도가 더욱 강하게 표출된다. 한 가지 결과는 학업성취도와 관심사에 있어서 성차(sex difference), 보다 보수적이고 덜 부유한 국가에 비해 대학 및 직업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성 평등의 패러독스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독서에 대한 개인적인 학문적 강점과 과학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고 넓어진 재정적 안전이 선진국에서 STEM 경력을 쌓는 여성이 거의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

 

영국의 리즈 베켓 대학 (Leeds Beckett University) 심리학 교수인 기스버트 스퇴트(Gijsbert Stoet) 교수는 "STEM의 경력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수입이 좋지만 이러한 경로를 따르지 않는 위험은 다양 할 수 있다. 어떤 직업 선택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부유한 국가의 여성은 비경제적 요인에 따라 선택을 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

반대로, 경제적 기회가 더 적거나 취업이 불안정한 국가의 경우, 수입이 좋은 비교적 안전한 STEM 직업이 여성에게 더 매력적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목표를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정책 입안자들은 STEM의 성 불균형 감소에 초점을 맞춘 실패한 국가 정책을 재검토해야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출처 : WEF (2018년 10월 annual report) 

 

[더사이언스플러스]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