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관계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영국 대학의 1만쌍 사례 연구)

편집국 기자 / 기사승인 : 2020-07-28 17:39:05
  • -
  • +
  • 인쇄
(읽기 3분)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이 결정적인 역할,연령이나 소득과 같은 객관적인 요소는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예측은 불가능.

행복한 관계를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5가지 주관적인 요소가 특히 중요한 역할.


주관적 행복 :
사랑에 있어서 행복감은, 관계에 대한 우리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원들이 찾아낸 것 중에는 파트너와 관계의 가치 평가, 파트너가 행복하고 여기에 연결됐다는 느낌, 성적 만족 및 갈등을 포함하여 다섯 가지 요소가 특히 중요하다.
대조적으로, 이 주제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연구가 보여 주듯이 연령이나 소득과 같은 객관적인 요소는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 커플의 행복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왜 많은 애정 관계는 다른 관계보다 더 행복하고 오래 지속될까? 그리고 내가 올바른 것을 찾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사람들은 아마도 수천 년 동안 이러한 질문을 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행복한 관계를 맺는 데는 몇 가지 답변만 있다.
행복한 커플은 다투는 것이 다르게 보이며 그 어조로 파트너십에 미래가 있는지 여부도 알 수 있다.

관계 시험에서 1만1000 커플

행복한 관계에 대한 추가 지표를 찾기 위해 런던 웨스턴 대학교(Western University London)의 사만타 조엘(Samantha Joel)이 이끄는 연구팀은 최근 43개의 파트너십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 지능을 사용해 새롭게 평가했다.
이 연구에는 성격 유형에 대한 주관적인 진술에서부터 연령, 소득, 교육 및 성별과 같은 객관적인 요인에 이르기까지 1만1196명의 커플과 2천 가지가 넘는 다양한 지표가 포함됐다.

▲ 최근 43개의 파트너십 연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 지능을 사용해 새롭게 평가했다.


연구자는 “이러한 변수 중 일부는 사람들 자신을 특성화하고, 다른 한편의 변수들은 관계의 인식과 경험(예: 갈등, 성적 만족도, 관계 기간)을 반영한다. 우리는 파트너십의 질을 가장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 매개 변수를 알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참여하는 모든 커플들은 몇 달에서 몇 년 간격으로 두 번 이상 인터뷰를 했다.

주관적인 인식이 객관적인 요소보다 중요

결과 :
관계의 행복을 위해서는 파트너가 나이, 사회적 배경 또는 관심사 중 어느 것이 일치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객관적인 요소는 Joel과 그녀의 팀이 발견한 것처럼 파트너십의 질에서 단지 작은 역할을 했다. 대신, 파트너와 자신의 관계를 보는 방법이 더 중요하다.

Joel과 그녀의 동료들은 "관계의 질에 대한 자신의 평가의 약 45% (예를 들어, 파트너에게 얼마나 만족스럽고 파트너에 대한 자신의 가치평가 혹은 그 반대에 대해서 얼마나 큰지)가 파트너쉽이 잘 작동하는지, 행복한지 설명해준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특성 형질이나 행동양식에 대한 인식은 최대 21%를 차지했다.

여기에는 일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두려움이나 우울증도 포함된다.

다섯 가지 요소가 특히 중요

구체적으로, 다섯 가지 요소가 관계의 행복을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명확하게 반영한다.
첫 번째는 상대가 관계성에 대해 얼마나 좋게 생각하는가다.
즉 "내 파트너가 이 파트너십이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두 번째 요소는 파트너의 가치 평가다. 다시 말해 "이 사람이 내 인생에 함께 있어서 매우 행복하다"는 판단이다. 성적 만족도는 상위 5위에 랭크됐다. 

▲ 첫 번째는 상대가 관계성에 대해 얼마나 좋게 생각하는가다.


행복한 관계를 나타내는 네 번째 지표로 연구팀은 그 혹은 그녀가 관계에서 행복하다는 느낌을 꼽았다. 갈등의 빈도와 유형이 다섯 번째로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다른 파트너가 관계와 파트너를 비슷한 방식으로 인식하거나 완전히 다르게 인식하는지 여부는 상대방의 주관적 인식 행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측은 불가능

행복한 관계에 대한 명확한 지표를 찾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실망스런 결과를 낳았다.
Joel과 그녀의 팀은 관계가 지속될지 안될지 판단할 수 있는 주목할만한 요인을 찾을 수 없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계가 나아지거나 악화되는지 여부는 이러한 주관적인 진술과 객관적인 요소 모두에서 읽을 수 없다"라고 연구원들은 말한다.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의미다.

그들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파트너십의 실패 또는 성공 이유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행복한 관계의 비밀은 여전히 ​​예측할 수 없다.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2020; doi: 10.1073/pnas.1917036117)

출처: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더사이언스플러스] "Green Soul, Beautiful Science"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