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내일의 재료를 오늘 모델링한다.
배터리 충전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KIT(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의 연구원들은 컴퓨터 지원 시뮬레이션을 사용해 이러한 질문들을 조사하고 있다. 미세구조 모델은 새로운 전극 재료를 발견하고 조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양극 재료인 나트륨-니켈-망간 산화물의 경우, 시뮬레이션은 충전 과정 중 결정구조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는 탄성변형으로 이어져 용량이 줄어든다.
새로운 배터리 소재 연구는 성능과 수명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리튬, 코발트 등 희소원소와 독성성분을 줄이는 것이기도 하다. 리튬이온 배터리와 유사한 원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유럽에서 충분히 구할 수 있는 원자재로 생산할 수 있는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유망한 것으로 평가된다. 고정식과 이동식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나트륨-니켈-망간 산화물과 같은 층상 산화물은 음극 재료로서 유망하다”고 시몬 다우브너(Simon Daubner)박사가 보고했다. 그는 KIT의 응용 재료 연구소의 그룹 리더이자 미세 구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IAM-MMS) 해당 연구의 교신 저자다. 또한 Cluster of Excellence POLiS(“Post Lithium Storage”의 약자)에서 나트륨 이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
▲ Crystall structure of Na0.69Ni0.34Mn0.66O2. a. 순수 P2형 물질의 정제된 분말 XRD 패턴; (b) 낮은 배율 및 (c) 높은 배율의 SEM 이미지. |
![]() |
▲ 마이크로 배터리 모델의 개략도. a. 전해질에서의 빠른 이동과 양극 측에서의 빠른 반응 동역학을 가정하여 Na 금속 양극에 대해 순환되는 단일 NaXTMO2 음극 입자. b 인터칼레이션 플럭스는 상 변환과 표면의 사이트 충전 비율 xsurf에 따라 매우 불균일할 수 있다. (출처:관련논문 : Published: 18 April 2024 Combined study of phase transitions in the P2-type NaXNi1/3Mn2/3O2 cathode material: experimental, ab-initio and multiphase-field results / computational materials)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