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모델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 갈고리(후크)
갈퀴 덩굴식물의 접착 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유형의 센서
과학자들이 새로운 유형의 마이크로 후크에 대한 모델로 갈퀴 덩굴 식물의 접착 구조를 채택했다. 3D 인쇄를 사용해 수지, 이소말트(Isomalt) 및 기타 물질로 인쇄한 후크 구조는 손상 없이 잎 표면에 부착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은 잎에 식물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를 붙잡고 식물에 보호 제품을 관리하거나 심지어 미니 로봇이 잎을 기어 다니게 한다.
![]() |
▲ 마이크로 후크로 물질을 식물 잎에 직접 투여할 수 있다. ©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
![]() |
▲ 그림 1: 자연에서 식물 잎을 위한 인공 MH 기반 고정 장치로 응용. G. aparine 자연 주축 잎 측면(축척 막대, 1 mm)의 SEM 이미지와 자연 축축 마이크로후크(삽입, 눈금 막대, 150 μm)의 클로즈업. b, c 기주 식물에 있는 G. aparine 잎의 디지털 현미경 이미지(스케일 막대, 500 µm) 및 잎 표면과 맞물리는 자연 축방향 마이크로후크(스케일 막대, 200 µm)에 각각 초점을 맞춘다. (출처: 관련논문 Fig 1, Plant-like hooked miniature machines for on-leaf sensing and delivery) |
![]() |
▲ 그림 1. d 잎에 MH 기반 방향 부착 시스템. e 유연한 IPS 제작 MH 기반 장치(IPS-MHD)의 인공 후크와 잎 표면과의 연동(왼쪽 SEM 이미지). 눈금 막대, 각각 100 및 25 µm; 오른쪽의 디지털 현미경 이미지, 눈금 막대, 100 µm). f 자가 용해 isomalt@fluorescein-made MH 기반 장치(i@fluo-MHDs)의 인공 갈고리 및 잎 표면과의 연동(왼쪽의 형광 이미지. 눈금 막대, 각각 200 및 50 µm, 오른쪽 디지털 현미경 이미지 , 스케일 바, 200 µm). g IPS-MHD를 사용하여 Arum italicum 잎에 대한 방향 부착 시연(즉, 5g의 무게 유지). 눈금 막대: 1 cm. (출처 : 관련논문 Plant-like hooked miniature machines for on-leaf sensing and delivery) |
![]() |
▲ 그림 3: 유연한 IPS-MHD로 만든 환경 기계. a microprinted 후크, 전자 회로, 센서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완전히 통합된 종이접기 조립 장치. b, c 잎 미기후 모니터링을 위한 MH 기반 센서의 사진. d–f 16 h 동안 성장 챔버 조건에서 V. lambrusca 잎의 빛, 온도 및 습도 매개변수 모니터링 결과를 플로팅합니다. 온도 및 습도 매개변수는 축방향 및 축방향 V. lambrusca 잎 측면 모두에 대해 보고된다. (출처: 관련논문 Plant-like hooked miniature machines for on-leaf sensing and delivery) |
![]() |
▲ 그림 5: 미니어처 로봇(MH 기반 MiniBot)에 내장된 MH 구조를 통해 잎 표면에서 래칫과 같은 모션의 개념 증명 데모. V. lambrusca 잎 위의 MH 기반 MiniBot. 삽입: 가벼운 구동, 저중량 MiniBot의 발에 인쇄된 MH에 의해 활성화된 연동 메커니즘. 808 nm 레이저가 액추에이터에 닿으면 액추에이터가 확장되고 뒷발의 MH가 잎 표면과 마찰을 만든다. 동시에 앞발의 후크가 떨어져서 시위자가 앞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뒤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한다. 레이저 오프 단계에서 유체 액추에이터가 냉각되면 수축한다. 그런 다음 앞발의 MH는 액추에이터를 확장하는 동안 얻은 위치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을 연동 및/또는 생성하는 반면 뒷발의 후크는 앞으로 미끄러져 로봇의 잎 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b V. lambrusca 잎에서 MH 기반 MiniBot의 전진 동작을 보여주는 다른 시점의 단일 프레임. (출처: 관련 논문 Plant-like hooked miniature machines for on-leaf sensing and delivery)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