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 읽기
- 모든 깡충거미처럼 "다크 시클백"은 먹이를 잡기 위해 거미줄을 치지 않고, 먹이를 따라다니며 덮쳐 죽인다
- 6mm에 불과한 이 거미 종은 유럽 전역의 초원에 서식
- 세계 거미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5만 종 이상의 거미 중 하나
매혹적인 눈빛의 거미
세계 거미 데이터베이스, 100주년 기념
이 거미는 매복 포식자다. 모든 깡충거미처럼 "다크 시클백"은 먹이를 잡기 위해 거미줄을 치지 않고, 먹이를 따라다니며 덮쳐 죽인다. 특별한 눈이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을 준다. 6mm에 불과한 이 거미 종은 유럽 전역의 초원에 서식하며, 세계 거미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5만 종 이상의 거미 중 하나다.
 |
| ▲ 유럽 점프거미인 에바르차 아르쿠아타(Evarcha arcuata)는 세계거미목록에 등재된 약 5만3000종의 거미 중 하나다. © zvg/Pierre Loria |
다크 시클백(Evarca arvuata)의 이 사진에서 깡충거미의 전형적인 감시하는 눈을 뚜렷이 볼 수 있지만, 총 8개의 눈 중 앞눈 4개만 사진에 나와 있다. 두 개의 크고 앞을 향한 주(主)눈(main eyes) 덕분에 이 거미는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외선도 감지할 수 있다.
주눈의 시야는 측면 눈의 시야와 겹칠 수 있어 깊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깡충거미는 거미줄을 치는 거미보다 먹이를 훨씬 더 잘 볼 수 있으며, 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곤충의 냄새를 맡고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이 카탈로그에는 5만 종 이상의 거미가 수록되어 있다.
사진에 나와 있는 표본은 현재 세계 거미 카탈로그에 등재되어 과학적으로 기술된 5만3545종의 거미 중 하나다. 이 디지털 카탈로그는 베른 자연사 박물관에서 무료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거미학회와 협력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했다.
각 거미 종은 이름, 외형, 기원, 그리고 표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덕분에 연구자들은 전 세계에서 발견되는 표본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과학자들은 이 카탈로그에서 이미 알려진 거미 종에 대한 1만8000개 이상의 과학 논문을 찾을 수 있다. 또 다른 5만 종의 알려지지 않은 종도 있다.
거미는 거의 모든 육상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그곳에서 이 여덟 개의 다리를 가진 식충동물은 자연적인 해충 방제자로서 생태적 균형과 지구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새롭게 발견되어 목록에 추가되는 모든 거미 종을 통해 우리는 자연을 조금 더 잘 이해하게 된다. 최소 5만 종 이상의 알려지지 않은 종들이 탐사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Naturhistorisches Museum Bern, World Spider Catalog(https://wsc.nmbe.ch/)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