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브런트 빙붕이 거대한 빙산을 낳다.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3-01-26 09:32:17
  • -
  • +
  • 인쇄
2'10" 읽기
- 쇄빙으로 두께 150m, 면적 1,550km²의 빙산 생성
- 빙붕 가장자리에서 빙산이 분리되는 것은 사실 자연스러운 과정
- 2012년 초 얼음 모니터링 위성은 얼음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된 이 균열의 시작 감지
- 처음에는 남극 해안 해류에 의해 운반될 것. 그런 다음 4개의 주요 "빙산 고속도로" 중 하나를 통해 북쪽으로 회전, 더 따뜻한 기후에 도달

남극: 브런트 빙붕이 거대한 빙산을 낳다.
쇄빙으로 두께 150m, 면적 1,550km²의 빙산 생성


빙산의 탄생:
며칠 전인 2023년 1월 22일, 남극대륙의 브런트 빙붕의 거대한 조각이 떨어져 나갔다. 원인은 거의 10년 동안 빙붕을 잠식해 온 거대한 균열이었다. 현재 형성된 빙산의 두께는 약 150m, 크기는 1,550km²이다. British Antarctic Survey에 따르면 거의 정확히 1년 전에 같은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보다 약간 더 크다. 그러나 이 분만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 남극 대륙의 브런트 빙붕(Brunt Ice Shelf)의 이 단절은 거대한 빙산을 만들었다 © British Antarctic Survey

남극대륙의 큰 만은 광대한 빙붕으로 덮여 있다. 보통 두께가 100m가 넘는 이 얼음 융단은 해안 빙하에서 흘러들어오는 얼음의 흐름을 늦춘다. 동시에 이 떠다니는 빙상은 남극 빙산의 가장 큰 출처이다. 2017년 Larsen C 빙붕 혹은 2021년 2월 빙붕 Brunt Ice에서 발생한 것처럼 거대한 얼음판이 계속해서 가장자리를 부수고 표 모양의 빙산으로 바다로 떠내려간다.

빙붕 가장자리에서 빙산이 분리되는 것은 사실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그러나 기후 변화는 예를 들어 따뜻한 바닷물이 빙붕을 침범하는 경우와 같이 떠다니는 빙상의 균열과 해빙을 촉진하고 가속화할 수 있다.

균열 "Chasm-1"이 원인이었다.

이제 남극대륙에서 또 다른 주요 해빙이 발생했으며 활동 장소는 다시 Brunt Ice Shelf이다. Wedell Sea 동부에 있는 이 얼음판은 지금까지 따뜻한 심해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체로 자연적인 분만 리듬을 따르는 것 같다. 이 빙붕은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개의 큰 균열을 발전시켰다. 브런트 빙붕의 북부에서 특히 빠르게 성장한 "노스 리프트(North Rift)"는 2021년 초에 빙산 A74가 부서지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빙산 붕괴의 원인은 예전부터 알려진 '캐즘 1' 균열이다. 2012년 초 얼음 모니터링 위성은 얼음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된 이 균열의 시작을 감지했다. 이는 최소 35년 후에 형성된 첫 번째 균열이었다. 그 이후로 Chasm 1 리프트는 북동쪽으로 계속 성장했다. 2016년 초 영국 남극 조사국(BAS)은 이 단층에 가까운 브리티시 핼리 극지 관측소를 동쪽으로 약 23km 더 이전했다. 보안상의 이유로 2017년부터 여름에만 유인 운행을 하고 있다.
▲ Chasm-1 균열은 현재 Brunt Ice Shelf에서 얼음이 부서지는 원인이었다. © British Antarctic Survey

빙붕의 서쪽 부분이 깨짐

현재의 단절은 Chasm-1 균열이 빙붕의 반대편 끝에 도달한 2022년 12월에 발표되었다. 그런 다음 2023년 1월 22일, 파열로 인해 나머지 빙상에서 서쪽 브런트 빙붕의 돌출된 "코" 전체가 절단되어 1,550제곱킬로미터의 빙산이 생성되었다. 아직 이름이 지정되지 않은 빙산은 이전 모델인 A74보다 약간 더 크다.

British Antarctic Survey의 빙하학자인 도미니크 허드슨(Dominic Hodgson)은 "우리는 이 분만 현상을 예상했다. 이는 브런트 빙붕의 자연스러운 행동의 일부다"고 설명했다. 그것이 또 다른 주요 빙하 붕괴라 할지라도 이것은 기후 변화와 관련이 없다. 연구원들은 새로 형성된 표 모양의 빙산이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남극 해안 해류에 의해 운반될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런 다음 4개의 주요 "빙산 고속도로" 중 하나를 통해 북쪽으로 회전하여 더 따뜻한 기후에 도달할 수 있다.
출처: British Antarctic Survey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