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즐기는 것은 유전된다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6 10:24:53
  • -
  • +
  • 인쇄
3분 읽기
-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음악적 성향 면에서 더 유사한지 비교
- 음악적 즐거움의 54%는 유전적으로 결정eho
- 음악을 즐기는 것은 단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에 의해 결정돼
- 일부 "음악감상 유전자"가 청각 담당하는 청각 피질과 뇌의 보상 시스템 간의 연결에 영향

음악을 즐기는 것은 유전된다
쌍둥이 연구, 음악의 기쁨에 유전적 기초가 있다는 걸 밝혀


음악에 대한 사랑은 유전자에 있다. 연구자들은 우리가 음악을 즐기는 정도 중 54%가 유전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개인의 음악적 즐거움은 아마도 여러 유전자에 기초하고 있으며, 각 유전자는 음악적 열정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다. 팀의 보고에 따르면, 음악을 즐기기 위해 반드시 음악적 재능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 음악을 즐기는 데 있어 유전자는 얼마나 중요한가? © MPI for Empirical Aesthetics / F. Bernoully

소울풀한 발라드든 강렬한 록 송이든, 음악만큼 우리의 기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자극은 거의 없다. 심지어 보상 시스템에 직접 작용하여 행복 호르몬인 도파민이 분비되게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런 것은 아니다. 음악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이는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이 어쩌면 타고난 것이고 유전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쌍둥이와 음악의 힘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네덜란드 나이메헌(Nijmegen)에 있는 막스 플랑크 심리언어학 연구소의 지아코모 비그나르디(Giacomo Bignardi)가 이끄는 연구진은 쌍둥이 연구를 통해 음악 감상의 배경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스웨덴의 9천 명 이상의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의 음악 인식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모든 참가자는 이전에 음악으로부터 얻는 보상과 음악적 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설문지를 작성했다. 예를 들어, 음높이와 리듬 등 특정한 음악적 특성을 얼마나 잘 인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문지에 답을 했다. 이제 Bignardi와 그의 팀은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음악적 성향 면에서 더 유사한지 비교했다. 만약 그렇다면 유전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

음악적 즐거움의 54%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실제로, 연구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유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유전적 효과가 음악적 보상 민감도의 변동성에서 최대 54%를 차지한다고 추정하고, 이 효과의 70%는 음악적 지각 능력과 일반적인 보상 민감도와 무관하다고 말한다"고 Bignardi와 그의 동료들은 기술했다.

따라서 음악의 즐거움은 우리 자신의 음악적 능력에만 달려 있지 않으며, 삶의 다른 영역에서 얼마나 쉽게 기쁨을 느낄 수 있는지에도 달려 있지 않다.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수석 저자인 미리엄 모싱(Miriam Mosing)은 "오히려 우리의 음악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여러 유전자가 담당

그러나 음악을 즐기는 것은 단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각 유전자는 음악적 즐거움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비교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측면에는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박자에 맞춰 춤을 추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 하지만 다양한 유전자가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어떻게 함께 작용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적어도 일부 "음악 감상 유전자"가 청각을 담당하는 청각 피질과 뇌의 보상 시스템 간의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이 두 뇌 네트워크의 구조와 기능이 음악을 즐기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Nature Communications, 2025; doi: 10.1038/s41467-025-58123-8)
출처: Max-Planck-Institut für empirische Ästhetik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