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천왕성 위성 발견 (영상)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0 20:25:57
  • -
  • +
  • 인쇄
3분 읽기+18초 영상
- 움직이는 빛점이 위성으로 밝혀져
- 폭 10km의 새로운 위성, 천왕성 안쪽 위성 중 가장 작다. 29번째 위성

새로운 천왕성 위성 발견
폭 10km의 새로운 위성, 천왕성 안쪽 위성 중 가장 작다.


천문학자들이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천왕성의 위성을 발견했다. 지름이 약 10km에 불과한 이 얼음 행성의 위성은 제임스 웹 망원경의 새로운 이미지에서 드러났다. S/2025 U 1로 임시 명명된 이 위성은 오필리아와 비앙카 위성 사이, 천왕성의 안쪽 고리 가장자리에서 거의 원형 궤도를 그리며 천왕성을 공전한다. 천문학자들은 이 위성이 천왕성의 작은 안쪽 위성 중 가장 작고 어둡다고 보고했다. 

▲ 제임스웹 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새롭게 발견된 천왕성의 29번째 위성을 보여준다. 이 위성의 임시 명칭은 S/2025 U1이다. © NASA/ESA/CSA, STScI, M. El Moutamid(SwRI), M. Hedman(아이다호 대학교)

천왕성은 특이한 행성이다. 자전축이 운동 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 얼음 행성은 멀리 있는 태양 주위를 옆으로 돌게 되었다. 1986년, 현재까지 발견된 유일한 탐사선인 보이저 2호가 천왕성을 통과하면서 얇은 고리와 천왕성의 10개 위성을 처음으로 드러냈다. 그 이후 천문학자들은 강력한 망원경을 사용하여 18개의 위성을 더 발견했다.

움직이는 빛점이 위성으로 밝혀져

이제 천왕성의 또 다른 위성이 추가되었다.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의 마리암 엘 무타미드(Maryame El Moutamid)가 이끄는 천문학자들은 제임스웹 망원경을 사용하여 멀리 떨어진 얼음 행성 천왕성의 29번째 위성을 발견했다. 엘 무타미드는 "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40분씩 10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이 천체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이 이미지들은 천왕성 고리 안쪽 표면 근처에 작고 희미한 빛점을 보여주었다. 이 천체의 움직임은 천왕성을 공전하고 있으며, 따라서 위성임을 시사한다. 엘 무타미드는 "이 새로운 위성의 반사도가 다른 작은 천왕성 위성들과 거의 같다면, 지름은 약 10km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로써 S/2025 U1이라는 가칭으로 명명된 이 천체는 이 얼음 행성의 가장 작은 위성 중 하나가 되었다. 1986년 보이저 2호가 발견하기에는 너무나 작았다.
▲ 천왕성 안쪽 위성들 사이에서 새로 발견된 위성 S/2025 U1의 궤도. ©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이 얼음 행성의 가장 작은 위성

이 새로운 위성이 추가됨에 따라 천왕성은 이제 29개의 위성을 가지게 되었다. 새롭게 발견된 위성 S/2025 U1은 14번째이자 작은 내측 위성 중 단연 가장 작다. 이 위성의 궤도는 폭 43km의 오필리아와 폭 46x64km의 비앙카 사이에 있다. 엘 무타미드는 "이 위성의 거의 원형 궤도는 이 새로운 위성 또한 현재 궤도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캘리포니아 SETI 연구소의 공동 발견자 매튜 티스카레노(Matthew Tiscareno)는 "천왕성만큼 많은 작은 내측 위성을 가진 행성은 없다"고 말했다. "이 위성들과 천왕성의 고리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은 고리계와 위성계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혼란스러운 과거를 시사한다. 이러한 안쪽 위성 중 가장 작은 위성의 발견은 우리가 그곳에서 훨씬 더 복잡한 존재를 발견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최종 명칭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새로운 천왕성 위성이 국제천문연맹(IAU)의 공식 인정을 받으면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될 것이다. S/2025 U 1이라는 수수께끼 같은 명칭은 천왕성의 위성에 대한 전통처럼 셰익스피어 희곡 속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될 가능성이 높다. 엘 무타미드는 "우리 팀은 이미 이번 발견에 어떤 이름을 붙일지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있다. 이는 그 과정에서 얻은 문화적 교훈이다."라고 말했다.
출처: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NASA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