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 환경보호에 대한 욕구 증가
현재 어떤 영양 트렌드도 그토록 많은 신화와 다양한 의견이 유포된 적이 없었다.
식물성 영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 주제는 지속적으로 뜨거운 논쟁거리다.
논란의 여지가 많은 이 라이프 스타일이 일상에서 우리에게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 |
▲ 비건을 위한 햄버거 |
처음에는 단순한 추세라고 생각되었던 것이 이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더 많은 동물 복지, 개인 건강 및 환경 보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채식인 숫자를 전체 인구의 2-3%로 추정하고 있다.
채식의 엄격한 의미라고 할 수 있는 비건과 달리 광범위한 채식주의를 하는 사람들을 어림 잡은 통계다. 100-150만 정도다. 서구 유럽인들에 비해 낮은 비율이지만 증가추세는 훨씬 가파르다.
채식을 선호하는 이들이 동물성 제품을 엄격하게 포기한 뒤에는 무엇이 뒤따를까?
생태학적 이점을 어느 정도까지 언급 할 수 있을까?
이 식이요법에 건강 위험은 무엇인가?
![]() |
▲ 채식으로 전화하는 첫번째 동기가 동물의 복지와 윤리에 관한 문제의식이다. |
완전 채식(여기서는 비건을 의미)과 그 동기를 면밀히 살펴볼 만한 이유가 있다.
비건 채식을 하기로 결정한 것은 종종 윤리적 문제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비건 채식인은 의류 및 화장품과 같은 분야에서 동물성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잔인한 도축 방법, 수컷 병아리 파쇄 또는 부적절한 마취 등 가축 사육 환경은 동물 제품을 기피하는 첫번째 이유가 된다.
동물번식은 많은 농장 동물을 자연에서 결코 볼 수 없는 우유, 육류 또는 계란등을 공급하는 고성능 공급 업체로 전환하게 만들었다.
동물이 자연적으로 나이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죽임을 당하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비건은 유기농으로 확인된 동물성 제품도 기피 대상에 포함한다.
![]() |
▲ 밀식 환경에서 동물 복지는 없다. |
인간 영양 섭취의 일부가 되었다.
Western Carolina University의 심리학자 헤르촉(Herzog)은 동물을 '사랑하는 동물과 우리가 먹는 음식'으로 초기에 나누었다.
오늘날 유럽의 육류, 유제품 및 계란 소비는 약간 감소하고 있지만 전 세계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유엔 농업기구의 추정에 따르면, 전 세계 육류 생산량은 2050년까지 2억 6,6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장식 농업에 관한 현재 보고서, 도축장 및 전염병에 의한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은 동물 거래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육류 소비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공장식 농업에 윤리적 정당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는 이런 동물의 윤리문제가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영향을 미쳤다.
![]() |
▲ 캘리포니아 슈퍼마켓에 진열된 비건용 식품 |
소비자는 냉각 선반에서 최종 동물 제품 만 볼 수 있다.
대부분 목가적인 동물의 삶으로 장식되어 있다. 육류, 우유 또는 계란이 실제로 어떻게 생산되는지와 이것이 동물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 수가 없다.
일부 비건 채식인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동물의 고통에 직면하면 음식을 대하는 생각이 바뀔 수 있다. 업계의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은 종종 고기 조각 때문에 동물이 죽었다는 것을 스테이크를 보면서 기억한다. (계속)
[더사이언스플러스] "Green Soul, Beautiful Science"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