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보이' 첫 등장
2,300년 된 이집트 미라와 함께 49개의 귀중한 부적
사후 세계로의 화려한 통로:
고고학자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온 고위 소년의 미라인 나그 엘-하싸이(Nag el-Hassay)의 2,300년 된 "황금 소년"의 내부 구조를 처음으로 조사했다.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는 14~15세 소년이 금으로 도금된 머리 가면과 장식된 흉패 외에 금과 보석으로 만든 49개의 귀한 부적을 몸에 걸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것들은 그가 사후 세계로 건너가는 것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 |
▲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서 디지털로 풀어낸 미라 TR 21/11/16의 몸통 전면의 3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는 교차 팔 위치와 부적을 보여준다. 별도로 감싼 상지는 팔꿈치에서 구부러져 가슴 앞에서 교차된다. 부적은 몸통 전면에 3개의 기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부적은 성기 옆에 배치됐다. (출처:관련논문 Fig 4 Scanning and three-dimensional-print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of the “Golden Boy” mummy / frontiers / Front. Med., 24 January 2023) |
![]() |
▲ 그림 1.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서 TR 21/11/16/16으로 코드화된 미라의 정면 사진. 미라는 머리에 금박을 입힌 마스크를 쓰고 있으며 몸은 갈색 포장으로 완전히 덮여 있다. 몸통 전면에 있는 연한 베이지색의 직사각형 린넨 위에 말린 양치류를 얹어 놓았다. (출처:관련논문 Fig 1) |
![]() |
▲ 그림 2.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 있는 미라 TR 21/11/16/16의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사용한 디지털 포장 풀기 시각화. 왼쪽 측면 위치에 있는 미라의 일련의 4개의 3차원(3D) CT 이미지는 붕대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상으로 벗겨지는 단계를 보여준다. 부분적으로 풀면 붕대 안에 있는 미라가 드러난다. 완전히 풀린 미라는 연조직과 방부 처리 재료를 강조 표시하는 CT 창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완전히 풀린 미라는 미라와 관련된 골격과 조밀한 부적을 보여주는 CT 창 수준으로 볼 수 있다(맨 오른쪽). |
![]() |
▲ 그림 11.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서 미라 TR 21/11/16의 몸통에 대한 두꺼운 슬래브 코로나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는 미라의 표면과 포장 사이에 배치된 부적을 보여준다(5: 금 플라스크; 6: 금 Djed; 7: 금 웃자트, 8: 금 이중 매 깃털, 9: 금 풍뎅이, 10: 금 웃자트, 11: 돌 웃자트, 12: 석영 초승달, 13: 금 풍뎅이, 14: 석영 초승달, 15: 돌 뱀 머리, 16: 금 티트, 17: 금판, 18: 석영 우자트, 20: 금 이중 타조 깃털, 21: 금 플라스크, 22: 돌 태반, 23: 금 제드, 24: 금 직각, 25 금 누 플라스크, 26: 석영 초승달, 27: 금 플라스크, 28: 금 플라스크, 29: 금 아제트, 30: 금 실린더, 31: 금 비드, 32: 석영 아제 33: 금 실린더, 34, 금 플라스크, 37: 금 제드, 38: 금색 지그재그, 39: 두 손가락, 40: 금판). (출처:관련논문 Scanning and three-dimensional-print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of the “Golden Boy” mummy) |
![]() |
▲ 그림 13.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의 미라 TR 21/11/16 샌들의 3차원(3D)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띠가 없는 샌들 한 켤레(오른쪽)가 미라의 발바닥(왼쪽)에 놓여 있다. |
![]() |
▲ 그림 9.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서 TR 21/11/16 미라의 적출된 몸통의 코로나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팩(짧은 직선 화살표), 풍뎅이 부적이 부분적으로 내장된 수지(짧은 곡선 화살표) , 느슨한 리넨(긴 곡선 화살표). 미이라화 과정에서 심장이 제거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긴 직선 화살표). |
![]() |
▲ 그림 10.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 있는 미라 TR 21/11/16의 입에 있는 금설 부적의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A) 미라 머리의 두꺼운 석판 코로나 CT 이미지는 입 안에 밀도가 높은(금색) 평면 부적(곡선 화살표)을 보여준다. 궤도는 리넨으로 채워져 있다(직선 화살표). (B) 부적의 3차원 CT 이미지는 그것이 평평한 혀 모양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