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티라노사우루스와 일행이 눈이 크지 않은 이유
어떤 버전이 맞을까? 여기에 표시된 두개골과 머리는 지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육식 공룡 중 하나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다. 눈에 띄게 작은 눈을 가진 왼쪽 변종이 옳다. 티라노사우루스와 다른 많은 육식 공룡이 눈구멍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턱의 엄청난 무는 힘을 보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야만 두개골이 하중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었다.
![]() |
▲ 이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두개골과 머리 재건은 눈 모양의 다양한 변형을 보여준다. 어느 것이 맞을까? © Stephan Lautenschlager/ 버밍엄 대학교. |
▲ 궤도 모양은 개체 발생을 통해 변경된다. a. 티라노사우르스 렉스와 타르보사우르스 바타르의 새끼 및 성인 형태공간 위치 및 궤도 모양. b. Proterosuchus fergusi와 Germanodactylus cristatus의 새끼 및 성체 형태공간 위치 및 궤도 모양. (출처: 관련논문 Functional and ecomorphological evolution of orbit shape in mesozoic archosaurs is driven by body size and diet / communications biology) |
▲ 분석된 종의 합성 계통수. 다른 궤도 모양(원형 = 0, 압축, 열쇠 구멍 모양 등=0.5)을 나타내는 유클리드 거리가 비원형 궤도 형태의 발생을 강조하는 계통 발생에 매핑된다. (출처: 관련논문) |
▲ 3차원 변형 공간 PC 1-3에 대해 시각화된 가상 두개골 모델의 위치. 화살표로 표시된 변형되지 않은 모델과 변형된 모델 사이의 거리와 계산된 유클리드 거리. 각 모델에 대한 Von Mises 응력 등고선 플롯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출처: 관련논문) |
▲ a, c, e 원래 궤도 모양, b, d, f 원형 궤도 모양. a, b 안구 크기에 맞게 재구성된 안구를 가진 골 모델; c, d von Mises 응력 등고선 플롯; e, f 압축 및 인장 응력 등고선 플롯.(출처: 관련논문 Functional and ecomorphological evolution of orbit shape in mesozoic archosaurs is driven by body size and diet / communications biology) |
▲ a, c, e 원래 궤도 모양, b, d, f 원형 궤도 모양. a, b 안구 크기에 맞게 재구성된 안구를 가진 골 모델; c, d von Mises 응력 등고선 플롯; e, f 압축 및 인장 응력 등고선 플롯.(출처: 관련논문 Functional and ecomorphological evolution of orbit shape in mesozoic archosaurs is driven by body size and diet / communications biology)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