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은 난세포가 결정한다.
난세포가 배출하는 화학적 유인물질이 모든 정자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팔관에서 파트너 선택 :
여성의 난세포(egg cell)는 어떤 정자를 누구로부터 받을 것인지 의사결정에 참여 한다.
난자의 화학적 유인물질은 실험에서 밝혀진 것처럼 특정 파트너의 정자에게 더 매력적이다. 이 효과는 성관계 후 일종의 성적 선택이 될 수 있으며 특정 짝짓기가 다른 사람보다 자손을 낳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연구원들은 보고했다.
![]() |
▲ 여성의 난세포(egg cell)는 어떤 정자를 누구로부터 받을 것인지 의사결정에 참여 한다. |
섹스와 함께 희생이 엄청나게 큰 정자들의 경주가 시작된다.
수백만 개의 남성 정자 세포중 극히 일부만이 목적지인 난세포에 도달한다.
어떤 정자가 경주에서 이기는지는 무엇보다도 체력, 타이밍 및 수영 전략뿐만 아니라 난자의 미묘한 신호에 달려 있다. 난자가 정자에게 길을 보여주는 화학적 유인 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난세포가 결정할까?
난자는 어떤 정자가 자신에게 도착하도록 영향을 미칠까?
생식 세포 수준에서의 이러한 성 선택은 적어도 일부 무척추 동물 해양 동물에게서 알려져 있다. 그들의 난자 세포 유인물은 특정 수컷의 정자 세포(유전자적으로 특히 양립 할 수있는 것)에만 매력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난자 세포는 이 파트너와의 개념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동 결정’은 이전에 인간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난자 세포의 화학적 신호는 정자에게 길을 보여줄 뿐이다.’
최근 실험으로 이것보다 더 많은 정보가 있는지 확인했다. 과학자들은 유인 물질을 함유한 다양한 여성의 난포 액에 대한 약 30명 남성 정자의 반응을 관찰했다.
한 실험에서, 정자는 두 여자의 난자 향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 실험에서, 팀은 중립적인 조절 제어와 비교하여 유인 물질의 매력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했다.
![]() |
▲ 수백만 개의 남성 정자 세포중 극히 일부만이 목적지인 난세포에 도달한다. |
매력은 파트너에 따라 다르다. 생식 세포에서도 마찬가지
정자가 난자의 유인 물질에 얼마나 강하게 반응하는지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러한 강도는 생식 세포가 어떤 남자 혹은 어떤 여자에게서 유래한 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피츠 패트릭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한 여성의 난포액이 한 남성의 정자를 더 많이 끌었고, 다른 여성은 다른 남성의 정자에 더 많은 작용을 했다. 이것은 정자와 난자 세포의 상호 작용은, 관련된 남성과 여성의 특정 정체성에 달려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왜 남성 정자 세포가 특정 여성의 유인 물질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난포액은 파트너에서 정자가 왔는지 아닌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여기서 매력에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선택적 반응은 우연한 것이 아니고 반복 가능한 것이라고 연구원들은 밝혔다.
즉 영향을 미치는 정자에게는 반복해도 같은 결과를 준다는 의미다.
![]() |
▲ 이 선택은 무의식적이고 여성이 통제할 수 없으며 세포 수준에서 발생한다. |
생식에 결정적인가?
과학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인간 생식 세포 수준에서 성적인 선택이 있음을 시사한다.
과학자들은 “난세포와 정자사이의 화학적 의사소통 중에 어떤 남자로부터 정자를 받아들일지 '비밀스런 선택 결정권'은 여자에게 있다. 그러나 이 선택은 무의식적이고 여성이 통제할 수 없으며 세포 수준에서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 비밀스런 선택의 존재가 확인되면, 원하지 않는 자녀가 없다는 것을 설명 할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이 없는 경우, 이 파트너의 난자와 정자는 단순히 좋은 냄새가 나지 않을 수 있다. 피츠 패트릭 (Fitzpatrick)과 그의 동료들은 “실제로 다른 파트너들에게 정자를 유인하는 물질이 각각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수정을 성공으로 이끄는 데 결정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20; doi:
10.1098/rspb.2020.0805)
출처: Universität Stockholm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