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주변에서 12개의 새로운 위성 발견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9 10:10:12
  • -
  • +
  • 인쇄
2'50" 읽기
- 92개의 위성으로 목성은 다시 토성을 추월,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진 행성
- 12개중 9개는 역행, 3개는 순행
- 새로 발견된 목성의 위성도 지름이 1~3.2km로 다소 가늘다.

목성 주변에서 발견된 12개의 새로운 달
92개의 위성으로 목성은 다시 토성을 추월하고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진 행성이 되었다.


행성의 왕:
천문학자들은 행성 목성 주위에 12개의 위성을 더 발견했으며 현재 가스 거인 주위에 총 92개의 위성이 알려져 있다. 목성은 다시 한번 고리가 있는 행성 토성을 추월하고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달을 가진 행성이 됐다. 새달은 크기가 1에서 3km 사이이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가스 거인을 공전한다. 그중 3개는 목성의 내부 위성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고 나머지 9개는 역행하며 포획된 소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 천문학자들은 목성 주위에서 12개의 작은 위성을 더 발견했다. James Webb 망원경이 적외선으로 묘사한 가스 거인은 92개의 알려진 위성을 가지고 있다. © NASA/ESA/ CSA, Jupiter ERS 팀/ Ricardo Hueso(UPV/EHU) 및 Judy Schmidt

두 개의 큰 가스 ​​행성 목성과 토성은 가장 큰 "가신家臣"을 놓고 거의 경쟁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부 큰 위성 외에도 두 행성에는 주변에 수많은 작은 위성이 있다. 2018년 천문학자들은 목성의 위성을 12개 더 발견해 목성이 79개의 위성으로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위성을 가진 행성이 되었다. 그러나 2019년에는 토성 주변에서 20개의 위성이 더 발견되면서 이 타이틀을 다시 포기해야 했다. 고리가 있는 행성에는 이제 83개의 알려진 위성이 있다.

목성의 위성 수는 92개로 증가

이제 또 다른 추가 사항이 있다. 이미 마지막 발견에 참여한 미국 카네기 과학 연구소의 Scott Sheppard가 이끄는 천문학자 팀은 이제 목성 주변의 또 다른 12개의 위성을 발견했다. 하와이에 있는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과 칠레에 있는 세로 톨로토 천문대에서 여러 차례 관측한 후 팀은 NASA의 소행성 센터에 12개의 새 위성을 보고했다. 이것은 이제 공식적으로 목성의 새달로 확인됐다.

목성은 현재 총 92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다시 토성을 추월하고 당분간 우리 태양계에서 다시 가장 많은 달을 가진 행성이 됐다. 천문학자들은 두 행성의 관측하기 어려운 외부 영역에 숨겨진 다른 작은 위성이 있을 수 있다고 의심하기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들은 목성이 최대 600개의 작은 불규칙 위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들 중 다수는 너무 작아 고립된 고리 입자에 가깝다.
▲ 철사 처럼 얽힌 혼란: 목성의 불규칙한 위성의 궤도, 빨간색은 역행 위성, 파란색은 순행 위성이다. 새로 발견된 위성은 아직 이 그림에 없다. © Nrco0e/ CC-by-sa 4.0

9개의 레트로그레이드, 3개의 프로그레이드

새로 발견된 목성의 위성도 지름이 1~3.2km로 다소 가늘다. 그중 9개는 가스 거인의 외부 역행 위성에 속한다. 하나의 궤도를 완성하는 데 550일 이상이 걸리는 이 작은 덩어리의 집합체는 목성을 공전하며 행성과 더 큰 위성의 회전방향과 반대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역행 위성이 포획된 소행성과 충돌 잔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새로 도착한 세 위성은 순행 방향인 "오른쪽"에서 목성을 공전하고 있다. 그들의 궤도는 목성에서 1100만~1700만km 떨어진 역행 위성의 궤도 안쪽에 약간 있다. 따라서 Sheppard와 그의 팀의 초기 평가에 따르면 목성의 이 작은 위성들은 지역적으로 형성되었을 수 있다.
출처: Sky & Telescope, Minor Planet Center, PBS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