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도 조이스틱을 조작해 비디오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1-02-16 10:22:59
  • -
  • +
  • 인쇄
(3분 읽기)
- 조이스틱의 움직임과 화면 커서 연결 이해
- 조이스틱을 코로 조작
- 실패 시 트레이너의 격려만으로도 동기 부여 받아 수행 성공해

돼지는 비디오 게임을 할 수 있다.
연구는 동물에 대한 정신적 유연성과 개념적 이해를 보여준다.

더이상 "멍청한 돼지"가 아니다.
실험에서 확인된 것처럼 돼지는 주둥이로 조이스틱을 움직여 간단한 비디오 게임을 조작 할 수 있다. 동물이 무작위로 맞춘다고 설명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자주 지정된 커서 대상 지점에 도달했다. 분명히 돼지는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화면의 커서와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한다. 

▲ 이 돼지는 코로 조이스틱으로 비디오 게임의 커서를 조작한다. © Eston Martz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돼지는 수천 년 동안 농장 동물로서 인간에게 육류를 제공했다.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돼지는 맛 뿐만 아니라 지능적이라는 것을 입증됐다.
개처럼 명령을 배우고 방향을 지정할 수 있으며 심지어 거울을 사용해 숨겨진 음식을 추적할 수도 있다.

조이스틱을 코로 조작

퍼듀(Purdue) University의 캔데이스 크로니( Candace Croney)와 사라 보이슨(Sarah Boysen) 연구원은 다양한 종류의 돼지가 간단한 비디오 게임을 이해하고 플레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를 위해 요크셔 돼지 햄릿(Hamlet)과 오믈렛(Omelette)  두 마리와 파네핀토 미니 돼지 에보니(Ebony)와 아이보리(Ivory) 두 마리는 코로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법을 배웠다.

Croney와 Boysen은 조이스틱을 사용해 화면의 특정 대상으로 커서를 이동하도록 교육했다. 보상을 받기 위해 돼지들은 각각 커서로 화면에 표시된 벽을 쳐야했다. 성공하면 난이도가 높아졌다. 실험 초기에는 4개의 벽이 모두 대상 영역이었고 나중에는 3개, 2개 또는 1개만 있었다. 

▲ 실험장치 (출처: 관련논문 Acquisition of a Joystick-Operated Video Task by Pigs (Sus scrofa))

시각 및 운동 장애에도 불구하고 성공

연구자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네 마리의 돼지 모두 무작위 이상의 확률로 표적 지역에 도달했다. 이것은 그들이 게임의 기본 원리와 커서 이동에 대한 자신의 영향을 이해했음을 나타낸다. "고유의 행동들이 다른 곳에서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동물에게 작은 업적이 아니다"고 Croney는 말했다.

이 실험은 원래 원숭이를 위해 설계됐다. 원수이들에 비해 돼지는 훨씬 더 나빴다.
그러나 이것은 작업이 돼지에 맞지 않게 조정됐기 때문일 수 있다. 연구원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돼지의 시각적 요구 사항은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이전에 4 마리의 실험 대상이 모두 원시(遠視)인 것으로 이전에 확인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또한 손으로 하는 대신 주둥이로 제어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

트레이너와의 개인적인 유대

돼지는 성공적인 시도를 위해 받은 사료에 의해서만 동기를 부여받은 것이 아니다.
연구진은 "돼지와 조련사 간의 사회적 접촉은 분명히 매우 중요했다"고 보고했다.
몇 번의 실패한 시도 후에 동물이 좌절감에 포기하려고 하면 조련사로 부터 격려의 말을 받았다. 사료 공급 기계가 고장 난 후에도 트레이너가 돼지를 칭찬하고 쓰다듬어 돼지가 계속 움직이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충분했다. 

▲ 실험 장면

Croney는 "이러한 유형의 연구는 모든 지각있는 생물과 마찬가지로 돼지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는 돼지가 정보를 얻는 방법과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돼지가 우리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양돈과의 관련성

이러한 통찰력은 또한 산업 양돈과 관련해 새로운 관점을 열 수 있다.
Croney는 “주요 목표는 관리 관행과 돼지 복지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돼지의 독특함을 더 잘 이해하려는 노력에 부차적인 것이다. 우리가 돼지에게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제외하면"이라고 설명했다.
(Frontiers in Psychology, 2021, doi : 10.3389 / fpsyg.2021.631755)
출처 : Frontiers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