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이 창의성을 촉진하는 이유
움직임 자체는 창의적 사고에 도움이 되지 않지만 목적 없는 산책은 다르다.
움직임은 창의성을 촉진할 것이라는 것이 사실일까?
두 연구원이 최근 실험으로 이것을 확인했다. 신체적인 움직임 자체가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 초점을 잘 맞추지 않고 목표 없이 산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변을 빈들 빈들 돌아다니듯 산책하는 사람은 주어진 도보 경로를 따르는 사람보다 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초점을 맞춰 화면을 보는 것에 비해 의자에서 자유롭게 앉아 움직이는 것이 더 창의성을 갖는데 도움이 된다.
![]() |
▲ 산책이 왜 우리의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는가? 사진: 픽사베이 |
우리 인간은 독특하게 창의적이다. DNA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은 이미 우리 유전자에 있다. 우리의 창의적 사고에는 연결에 대한 인식과 알려진 지식을 새로운 솔루션에 결합하는 것, 발산적 사고(일반적인 솔루션에서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것)가 모두 포함된다. 우리가 후자를 얼마나 잘 하는지는 간단한 단어 테스트로 알 수 있다.
연구를 위해 걷다.
어떻게 창의성을 촉진할까? 언제 최고의 아이디어가 떠오를까?
꿈꾸는 듯한 반수면 외에도 육체적인 움직임은 특히 영감의 섬광을 받기 쉬운 것으로 간주된다. 고대에도 학자들은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해 산책을 즐겼다. 그러나 그 움직임이 우리의 생각을 자극하는 이유와 방법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뷔르츠부르그(Würzburg) 대학의 수프리야 무랄리(Supriya Murali)와 바바라 한델(Barbara Handel)은 일련의 실험을 통해 이 질문의 핵심에 도달했다.
![]() |
▲ 평균 *유창성 점수(a)와 평균 유연성 점수(b)는 걷기 및 앉아 있을 때 표시. T 테스트는 유창성(t(19) = 2.4; p = 0.03)과 유연성(t(19) = 2.9, p = 0.008)에 대해 걷기와 앉기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별표 기호는 각 주제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파란색 선은 걷는 상태에서 유창성 점수가 더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빨간색 선은 앉아 있는 상태에서 더 높은 경우를 나타낸다. (출처: 관련논문 Fig 1, Motor restrictions impair divergent thinking during walking and during sitting) |
![]() |
▲ 평균 유창성 점수(a, b) 및 유연성 점수(c, d)는 걷는 동안(a, c) 및 앉아 있는 동안(b, d) 각 대상의 깜박임 속도에 대해 표시된다. 각 색상 원은 단일 주제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선형 회귀는 눈 깜박임이 생각 시간 동안 유창성 또는 유연성 점수를 예측했다는 표시를 보여주지 않았다. (출처: Fig 2 Motor restrictions impair divergent thinking during walking and during sitting) |
![]() |
▲ 실험결과에서 주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산책을 할 때처럼 생각이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집중하지 않으면 발산적 사고가 촉진되는 것 같다.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