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개의 뿔이 달린 염소와 양에 관한 수수께끼가 풀렸다.
HOXD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뿔 싹이 갈라진다
수수께끼의 성장 :
보통 뿔 2개 대신 4개의 뿔을 갖는 양과 염소가 있다.
그 이유는 소위 HOXD1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이다. 이 유전자는 배아 발달 중에 뿔이 자라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단백질 수가 감소해 이 영역이 확장되고 뿔 싹이 갈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 |
▲ 이 양은 네 개의 뿔을 갖고 있다. 유전적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 JA Lenstra |
![]() |
▲ 양과 염소의 Polyceraty 및 후보 유전자 변형. (a) Polycerate Manx Loaghtan ram. (b) 현지 독일 인구의 야생형 및 폴리세레이트 수컷 염소. 이 개체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형을 나타낸다. 비대칭 뿔이 있고 측면 뿔이 부분적으로 융합된 폴리세레이트 동물도 정기적으로 관찰된다. (c) 양에서 폴리세라티를 유발하는 4-bp 결실. 통합 게놈 뷰어 (IGV) 스크린 샷은 HOXD1과 관련된 변이의 현지화를 보여준다. 아래는 103 개의 sarcopterigian 및 tetrapod 종에 걸친 엑손 1- 인트론 접합부의 뉴클레오티드 보존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 (d) Chr2에서 HOXD 유전자 클러스터 하류에서 503kb의 손실 및 Chr5에서 137 kb의 중복을 갖는 이형 접합 폴리세레이트 염소 동물에서의 판독 커버리지 플롯. (e) Chr2에서 삭제된 영역 (빨간색으로 표시됨) 및 삭제 부위 (녹색으로 표시됨)에 삽입된 Chr5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BAC 클론을 사용해 이형 접합 폴리세레이트 염소에서 FISH- 매핑.(출처: 관련논문 Analysis of Polycerate Mutants Reveals the Evolutionary Co-option of HOXD1 for Horn Patterning in Bovidae |
![]() |
▲ (a) 맨 위에는 화살표가 있는 마우스 HoxD 유전자 클러스터의 구조가 발달 중에 신체 축을 따라 유전자 발현의 타이밍과 국소화를 보여준다. Hoxd1의 위치가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 아래는 Hoxd1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궤적의 1Mb보기와 양(검은색 화살표) 및 염소(검은색 선)의 POLYCERATE 변형의 상대적 위치. 아래는 Hoxd1 (파란색 화살표)에 lacZ 삽입, 두 개의 BAC 클론 (굵은 파란색 선) 및 조작된 송실 (검은색 선)과 함께 다양한 뮤린 대립 유전자를 보여준다. (b) X-gal 염색 후 E12.5–E13.5 마우스 태아의 머리. 점선 원은 크라운에서 Hoxd1 발현이 없음을 강조하는 반면 (Bovidae에서 hornbuds의 국소화에 해당), 주변 진피 세포는 양성이다. 목 뒤 (검은 색 화살표)에서 Hoxd1 발현의 보존은 안면 근육 전구체 (흰색 화살표) 및 눈꺼풀 (화살촉)의 발현 유무와 대조된다. 4개의 균주 간의 비교는 이러한 모든 두개골 유도체에서 Hoxd1 발현이 폴리 세 레이트 염소에서 손실된 세그먼트의 근위 부분에 직교하는 영역에 위치한 조절 요소에 의해 제어됨을 나타낸다. (출처: 관련논문 Analysis of Polycerate Mutants Reveals the Evolutionary Co-option of HOXD1 for Horn Patterning in Bovidae) |
![]() |
▲ 61개의 양의 두개골과 19개의 염소 두개골에 대한 3D 기하학적 형태 분석 결과.(출처:관련논문)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