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년 전 미라의 목소리를 듣다.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0-01-24 14:06:20
  • -
  • +
  • 인쇄
CT 스캔후 3D 프린터로 미라의 성대모양을 구성

과학자들 3천 년 전 미라의 목소리를 소환하다.
3D 프린터의 보컬로 고대 이집트 사제의 목소리를 재현

▲ 고대 이집트 사후재판 모습 / 대영박물관소장


3천 년 전 목소리 재현:

연구원들이 3,000살의 이집트 미라가 말을 하게 했다.
그들은 전직 사제의 보존된 성대를 분석하고 3D 인쇄를 사용해 사본을 만들었다.
합성 후두로 죽은 사람의 목소리를 재현 할 수 있다. 이제 모든 사람이 일생 동안 그가 어떻게 소리를 냈는지 알 수 있다.

음성은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중 하나이며 지문처럼 독특하다.
성대가 다르면 말할 때마다 사람의 목소리가 다르게 들리기 때문이다. 후두의 공기가 목구멍, 입 및 코를 통해 계속 흐르면 독특한 보컬 사운드가 생성된다. 이 음색은 우리의 목소리가 매우 개인적인 식별 코드가 되도록 만든다.

따라서 사람의 성대 모양을 알면 누구나 그의 목소리에 대한 결론을 도출해 합성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런던 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의 데이비드 하우어(David Hower)가 이끄는 연구자들이 오래전에 사망한 사람에게 행한 것이다.

CT 스캔 준비 : 3,000 년 된 Nesyamun 미라 © Leeds Teaching Hospitals / Leeds Museums and Galleries


사제 네샤문(Nesyamun)의 목소리는?

과학자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이 기괴한 프로젝트는 1823년 이후 리즈(Leeds) 시티 박물관에 보관된 미라가 특히 잘 보존되었기 때문에 실현 가능했다. 기원전 1100년경에 방부 처리 된 제사장 네샤문 (Nesyamun)으로부터 성대 조직의 필수 부분, 특히 후두와 인두 구조들이다.

“네샤문은 테베의 카르나크 신전에서 서기관과 사제로 일했다. 그의 목소리는 말과 노래 요소를 포함하는 그의 의식 의무를 위한 중요한 도구였다”고 팀은 설명했다.
이 성직자는 성전에서 설교하고 노래할 때 목소리는 어땠을까? 

CT 이미지를 사용해 미라의 성대에 대한 생생한 이미지를 만들었다. © Howard et al., CC-by-sa 4.0


3D 프린터의 보컬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하우어(Hower)와 그의 동료들은 먼저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사용해 미라를 검사했다. 결과 이미지를 사용하여 성대를 자세하게 측정하고 3D 인쇄로 실물과 같은 이미지를 만들 수 있었다. 없는 것은 음성 합성을 위한 인공 후두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네샤문(Nesyamun)의 목소리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 팀은 "bed"와 "bad"라는 영어 단어 모음 사이에 있는 단 하나의 사운드 만 재생했다. 미라의 모의 성대는 전체 단어나 문장을 생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음 및 언어 패턴에 대한 추가 지식만으로도 과학자들은 이집트 사제처럼 복제품을 말할 수 있었다.

"3,000년 동안 듣지 못했다"

연구원들은 “우리의 연구가 과거 세계로 향한 독특한 창을 열어 준다.”고 강조 한다. “이것은 우리가 고대 이집트와 직접 접촉하여 3000년 이상 듣지 못한 보컬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과거를 대중에게 알리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이다.”

네샤문 자신도 아마 죽은 사람이 말하는 것이라고 옹호했을 것이다. 하워드와 그의 동료들은“사후법정에서 선한 삶을 살았다는 것을 구두로 확인받을 수 있는 사람들만 영생과 마아-체루(Maa-cheru)의 칭호를 받았다고 믿어졌다. 법원은“Maa-cheru”를 통해 고인이 “음성에 있어 공정하다”고 설명한다.
(주석; Maa-cheru는 "Just in Voice", "Justified"및 "True in Voice"라는 제목의 고대 이집트 용어. 고대 이집트 역사 초기에 Maa-cheru라는 제목은 후기 왕을 언급했다.)

신들과 대화

실제로, 네 사문의 관에 새겨진 비문에는 죽음 후에 말하고 싶은 그의 소망에 대한 추가 표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이 문서화 된 소원은 미라 화 된 신체의 우수한 보존 상태와 함께 Nesyamun을 우리의 '과거의 목소리'프로젝트의 이상적인 후보로 만들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Scientific Reports, 2020; doi : 10.1038 / s41598-019-56316-y)

출처 : Nature Press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