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을 품고 있는 공룡 화석 첫 발견

문광주 기자 / 기사승인 : 2021-03-13 18:50:52
  • -
  • +
  • 인쇄
(3분 50초 읽기)
- 알로 발견된 7천만 년 된 오비랍토르 친척 공룡
- 공룡의 번식행위에 대한 명백한 증거
- 알의 체온을 38도로 높이는 모습

알을 품고 있는 공룡 화석 첫 발견
알로 발견된 7천만년 된 오비랍토르 친척의 화석

돌보는 포식자 :
중국에서 공룡이 알을 품고 있는 화석이 처음 발견됐다. 

이 화석은 죽은 오비랍토르(Oviraptor) 친척의 알이다. 7천만 년 된 이 화석은 명확하게 인식 할 수 있는 배아의 유물과 둥지에 장성한 공룡이 함께  보존된 최초의 화석이다.
그들의 발달 상태는 새끼가 차례로 부화했음을 암시한다. 

▲ 번식하는 오비랍토로사우루스 (왼쪽)의 재거구성도. 알과 성체가 있는 화석 둥지. © Zhao Chuang / Shundong Bi


지금까지 공룡의 요람이 어떤 모습인지는 부분적으로만 밝혀졌다.
고생물학자들이 이미 선사 시대 도마뱀의 일부 화석 알과 배아를 발견했다.
그들은 대부분의 공룡이 알을 낳았고, 그들의 새끼는 공동체 둥지에서 부화할 수도 있고, 알을 품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 알을 품는 것은 동위 원소 분석에 기초해 난자의 발달 온도 높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Oviraptor 친척의 둥지

현재 윈난 대학의 슌동 비(Shundong Bi)와 고생물학자들은 처음으로 알을 품고 있는 생생한 모습을 포착했다. 그들은 중국 남부의 Ganzhou시 근처에 성체 공룡과 알을 품고 있는 화석 둥지를 발견했다. 화석 둥지는 약 7 천만년 전으로 백악기 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연구진은 뼈를 사용하여 화석이 오비랍토로 사우루스 그룹의 포식 공룡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다소 가늘지만 민첩한 육식 동물의 성체 표본의 두개골은 누락됐지만 대부분의 골격은 구부러진 위치에서 알에 누워 보존되어 있다. 둥지에는 최소 24개의 알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깨졌다.

부화하지 않은 어린 알과 함께 있는 어른 공룡

특별한 점은 아직 부화하지 않은 배아가 24개 중 7개 이상에서 보존됐다는 것이다.
Bi는 "화석으로서 둥지에 있는 공룡은 화석화된 공룡 배아만큼 드물다"고 설명한다. "이 두 가지 모두 하나의 놀라운 발견으로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로 알이다.“

이전에 발견된 둥지에서 성체 공룡의 알은 대부분 파괴되었거나 비어있었다.
따라서 장성한 공룡이 둥지를 틀다가 죽은 부모인지 낯선 왜래자 인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실제로 현장에는 오비랍토르 공룡이 아직 부화되지 않은 알에 부분적으로는 이미 잘 발달된 어린 동물이 앚아 있어서 연구원들은 일반적인 시나리오와 다른 의견을 갖고 있다.

어린 동물의 발육을 고려할 때, 알을 낳는 동안에 사망했을 것이라는 것은 확실치 않다.

실제 번식 행동의 증거

대신, 고생물학자들은 이 공룡이 알을 품고 있는 동안 놀라서 붙잡혀 죽었다고 가정한다.
“우리가 찾은 결과 새끼들은 거의 부화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카네기 자연사 박물관의 공동 저자인 매튜 라만나(Matthew Lamanna)는 "이 오비랍토리드가 오랫동안 돌보고 있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알 수 있다. 이 공룡은 자손을 돌보면서 궁극적으로 목숨을 바친 돌보는 부모였다"고 설명했다.

이 발견은 이 공룡들이 오늘날 그들의 후손인 새들처럼 실제 번식 행동을 보여 주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악어는 둥지에 알을 낳고 보호하지만, 오비랍토로 사우루스도 스스로 알을 부화했다. "이러한 유형의 발견은 모든 희귀 공룡 발견 중에서도 가장 드물다. 원칙적으로 우리는 여기서 화석화된 행동을 보고 있다"고 Lamanna는 말했다.

이 둥지 화석 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실제로 번식 행동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화석 배아의 산소 동위 원소 비율은 고생물학자들이 설명했듯이 이 어린 동물들이 주위 온도에서 발달하지 않고 30~38도의 고온에서 발달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것은 부화되는 알이라는 추측이 더 맞다.
▲ 고비 사막의 보물 공룡. 이름 없는 Oviraptorid.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연사 박물관 CosmoCaixa 에 전시.

서로 다른 알 부화시기

또 다른 발견은 드문 경우다.
공룡 알의 배아는 발달 단계가 다르다. 이것은 그들이 동시에 부화하지 않았을 것임을 시사한다. 현대 조류에서 이 비동기식 부화는 일부 새 그룹에서만 발생하는 예외적인 사례다.
아마도 특수한 생활 조건에 적응할 수 있다. 반면에 병아리의 동시 부화는 원본으로 간주된다.

Bi와 그의 팀은 "오비랍토로사우리아(Oviraptorosauria)에서 비동기식 부화의 발견은 새에서 이 기능이 늦게 나타났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일"이라고 말했다. "분명히 이 특성은 일부 고급 새와 오비랍토로 사우르스 및 아마도 다른 공룡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발전했다.“

중국 과학원의 공동 저자 싱쑤(Xing Xu)는 “이 화석 하나에 생물학적 정보가 얼마나 많은지 놀랍다. 앞으로 몇 년 안에 이 사본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Science Bulletin, 2020; doi : 10.1016 / j.scib.2020.12.018)
출처 : Science China Press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Basic Science

+

AI & Tech

+

Phot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