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임신 테스트는 어떻게?
파피루스 조각, 고대 이집트 의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 제공
![]() |
▲ © Carlsberg Papyrus Collection / 코펜하겐 대학교 |
고고학자들은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 조각들을 통해 고대인들의 의학 지식에 놀라고 있다.
예를 들어, 발견된 조각의 본문 하나에는 신장에 대한 언급과 안구질환 치료법이 설명돼 있다. 지금가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된다.
파피루스 텍스트에는 임신테스트 설명도 있다.
임신테스트는 3000 년 후 독일 역사수집 자료에서도 발견된다.
고대 이집트에도 오늘날에 유행하는 많은 질병이 있었다. 그 중에는 오늘날 문명병이라고 불리는 질환이 놀랍게도 많다. 예를 들어, 나일강의 엘리트들은 동맥경화증이나 유방암 및 다른 종양에 시달렸다. 동시에 그들은 많은 질병을 스스로 치료하는 방법도 알고 있었다. 이미 여성의 면역 체계를 강화한 아이섀도를 칠했다.
현재 코펜하겐 대학 (University of Copenhagen)에 보관돼 있는 파피루스 조각모음은 이집트인의 의학 지식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천년기의 조각들은 고대 이집트 교과서의 일부다. "이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에서 행해진 의학, 식물학, 천문학, 점성술 및 기타 과학을 다루고 있다"라고 킴 리홀트(Kim Ryholt) 소장은 설명한다. "과학의 역사에 대해 듣게 되면, 주로 그리스어 또는 로마어 자료에 중점을 둔다."라고 이 연구원은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집트의 자료를 훨씬 더 많이 가지고 있는데, 우리의 텍스트 중 하나는 3500년 전에 쓰여 졌다. 그 당시 유럽에는 기록이 없었다."
곡물 포대를 이용한 임신 검사
수집된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파피루스에 고대 이집트 의사의 임신 테스트가 설명돼 있다. "텍스트에는 임신한 여자는 밀가루가 들어 있는 자루와 보리 자루에 소변을 해야 한다"고 소피 쉬트(Schiødt)가 말했다.
"그 곡물이 전혀 발아하지 않는 경우, 그녀는 임신하지 않은 것이다.
첫 번째로 싹트는 것이 태어날 아이의 성별을 암시했다. " 흥미로운 점은, 같은 임신 테스트가 약 3천년 후인 1699년 독일 민속 이야기의 모음집에서도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집트인들의 아이디어는 자신의 흔적으로 수천 년 뒤에 남았다."라고 쉬트(Schiødt)는 말한다."
고대 이집트의 의학 텍스트에서 비롯된 많은 지식들이 그리스와 로마 텍스트에도 나타나고 중세 중동의 작품에도 인용됐다.
신장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설명
파피루스의 또 다른 조각에서 이집트 학자들은 놀라운 것들을 보았다. 신장은 텍스트로 설명돼 있다. "이것은 이 기관을 언급 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의학문안"이라고 리홀트의 동료 암버 야콥(Amber Jacob)이 전했다. "지금까지 일부 과학자들은 이집트인들이 신장을 몰랐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문서를 통해 고대인들이 신장을 알고 있었다는 자료는 학자들에게 ‘사건’이 됐다.
또 다른 본문에는 이집트의 한 의사의 안과질환 치료법이 쓰여 있다.
그러나 점성술 또한 학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 점성술은 유사과학으로 간주되지만 고대에는 달랐다."라고 리홀트는 말한다. "당시 점성술은 미래를 예언하는 중요한 도구였고 중요하고 중심적인 과학으로 간주됐다." 이집트인들은 별들의 움직임과 위치에서 일상생활과 계획에 대해 좋고 나쁜 징조를 느꼈다고 믿었다.
파피루스 조각의 해독과 번역은 아직 진행 중
각 본문은 이집트인의 지식에 대해 더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는 아직도 고대 이집트에서 자연 과학의 매우 단편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 라이프치히 대학의 한스-베르너 피셔-엘퍼투가 말했다. "동시에, 이론적으로 알려진 많은 출처가 있지만 누구도 전 세계의 다양한 소장품을 가까이 들여다보지 않았다.”
출처 : Science North Europe
[더사이언스플러스=편집국]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 (1) "IceCube 관측소의 중성미자 위치 추적"
중성미자: 필사적인 발신자 추적아이스큐브(IceCube) 관측소팀, 우주 방사선의 근원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