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를 하는 포식자: 북극곰이 북극 먹이 사슬을 유지하는 방법
이들은 싸우는 걸까요, 아니면 춤을 추는 걸까요? 이 두 어린 북극곰의 위협적인 포즈 뒤에 정확히 무엇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두 포식자 발치에 있는 수염물범의 피투성이 사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다. 이 먹이는 다른 많은 북극 동물들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연구자들이 발견했듯이, 북극곰이 먹고 남은 잔해에 먹이 사슬 전체가 의존한다.
![]() |
| ▲ 이 두 마리 어린 북극곰은 수염물범을 잡아서 상아갈매기 등 다른 동물에게 간접적으로 먹이를 주고 있다. © Wayne Lynch |
![]() |
| ▲ 북극곰(Ursus maritimus)과 갓 죽은 수염물범(Erignathus barbatus) 새끼. 북극곰은 주로 먹이의 고에너지 지방을 섭취하여 지방을 축적하고, 종종 대량의 사체 생물량을 버린다. (출처:Predators and scavengers: Polar bears as marine carrion providers / 28 October 2025 / OIKOS) |
![]() |
| ▲ 네 가지 다른 북극곰 Ursus maritimus 포식 사건에서 버려진 먹이 유해: (A) 성체 고리무늬물범 Pusa hispida, (B) 수염물범 Erignathus barbatus 새끼, (C) 잘 먹은 성체 수염물범, (D) 잘 먹은 성체 고리무늬물범. (출처:Predators and scavengers: Polar bears as marine carrion providers / 28 October 2025 / OIKOS) |
![]() |
| ▲ 북극곰 Ursus maritimus가 사냥한 사체와 관련된 해빙 청소 동물 군집의 알려진 구성원과 잠재적 구성원의 하위 집합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화살표 두께는 사체와 청소 동물 간의 에너지 흐름 강도와 에너지 흐름의 시공간적 변화를 나타낸다. 굵은 실선 화살표는 널리 겹치는 알려진 주요 청소 동물을 나타내고, 얇은 실선 화살표는 모든 지역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2차 청소 동물을 나타내며, 얇은 점선 화살표는 해빙에서 청소 동물을 거의 관찰하지 못했거나 북극 육상 환경에서 청소 동물을 관찰했지만 아직 해빙에는 나타나지 않은 잠재적 청소 동물을 나타낸다. 고리무늬물범(Pusa hispida)은 북극에서 가장 풍부한 기각류이자 북극곰의 주요 먹이이기 때문에 단순화를 위해 이 다이어그램에서 대표적인 사체 종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이 다이어그램은 해양 기반 에너지와 영양소의 원천이 될 수 있는 다른 해양 포유류도 나타낼 수 있다. (출처:Predators and scavengers: Polar bears as marine carrion providers / 28 October 2025 / OIKOS) |
[더사이언스플러스=문광주 기자]
[저작권자ⓒ the SCIENCE plu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
+